종교철학의 방법론적 변천도 철학사의 사조 변천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은 여러 사례들이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역시 고전적인 그리고 궁극적인 물음은 변함이 없다. 그것은 역시 진리에로 향하는 그 방향성이다. 바른 지식이란 무엇인가?

유럽인들에게 그들의 유일한 종교인 기독교가 현실적으로 그들의 삶 속에 있다. 그 있는 ‘그것’에 대하여, 인간의 삶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규정하고 기술하는 행위를 잠시 쉬고, ‘그것’을 있는 그대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철학이라는 안경을 통해서 보는 것도 아니고, 나아가서는 인간의 사유나 언어를 매개로 하는 것도 아닌, 그냥 ‘그것’을 ‘그것’대로 드러나게 하는 방법 아닌 방법은 없을까?

20세기를 전후하면서, 유럽의 철학계에서는 ‘사태 자체’로 향하는 소위 대상에로의 전향(轉向)이 일어난다. 이런 철학 사조와 더불어 종교철학의 방법론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막스 쉘러이다.

쉘러는 《인간에 있어서 영원한 것》이라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서 종교와 철학의 관계를 분명히 함으로서 종교철학적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그는 이 책에서 종교와 형이상학(철학)과의 관계에 있어 차이점에 대하여 분명하게 해명하려하였다.

이런 그의 태도는 이전에 형이상학(철학)과 종교와의 부분적 내지는 전면적 일치성을 주장하는 입장과 거리를 두었다. 그에 따르면 형이상학적 연구의 심리적인 원천이 경이로움이라면, 종교의 원천은 구원의 욕구라고 한다. 또 방법도 다르다고 한다. 형이상학이 엄밀한 이성을 방법으로 사용한다면, 종교는 수용적 태도에 의해서 자신을 신에 내 맡기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런 상이점에 대하여 J.허센은 8가지 방면에 대비하여 소개하고 있는데, 이렇게 쉘러는 종교와 형이상학과의 관계를 분명하게 하고 신적 존재란 인간의 의식 속에 ‘원초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종교와 형이상학과의 관계를 분명하게 함으로써 그는 종교의 자립성을 옹호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철학의 영역에서 형이상학의 배제라는 새로운 사조의 등장에 대해서도 자유로울 수 있었다.

형이상학자들이 궁극적 제1원인자가 그 철학의 핵을 이루듯이, 쉘러에 종교철학에는 역시 신이 그 핵을 이룬다. 그러면 신이란 무엇인가? 그에 따르면 신은 논리적으로 추론되는 것도 아니고, 종교 외적인 경험의 대상으로부터 추상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자존적이며 무한정적이며 절대적인 활동성을 가진 원초적인 사태 그 자체이다. 이것이 바로 그가 말하는 ‘신의 본질 존재론’이다.

이런 신에 대하여 인간들은 소위 본질적 대상을 지향하는 종교적 행위를 한다. 물론 이런 종교적 행위는 지향하는 대상세계의 실재성을 긍정할 때에만 그런 행위의 실존이 이해 가능해진다. 쉘러는 이런 종교적 행위를 특성을 이렇게 제시한다. 첫째는 이 행위 속에는 자신을 포함한 모든 유한적 사물이 ‘세계’의 이념에로 총괄되고, 둘째 그 지향작용에 있어서 이 세계를 ‘초월’하며, 셋째 종교적 행위는 오로지 인간에 자기 자신을 계시하는 신에 의해서만 충족될 수 있다.

종교적 행위와 신의 현존을 대응시키는 것에 대하여 의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종교적 행위의 현존으로부터 신의 현존이 추리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하여 쉘러는 그것은 ‘지나치게 편협하고 폐쇄적인’ 경험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는 오류라고 반박하고, 또 근원적으로 주어지는 것은 제시되는 것이지 증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그런데 쉘러의 이런 종교철학적 입장들은 여러 측면에서 더 검증 되어야 할 요소들이 남겨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신토마스주의자들에 의해서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교조주의적 그림자를 반성하게 하는 계기를 준다. 신토마스주의자들은 종교의 신을 형이상학적인 방법으로 인식하고 논증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채택한 형이상학으로 특정한 교리나 신앙을 필연적으로 교조화하는 오류를 드러낸다. 그 결과 ‘사태 자체’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대하여 엄중한 경고를 내린다. 신은 그 자체로서 드러나는 것이지, 다른 그 무엇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쉘러는 J.허센의 표현을 따르면, “한편으로는 종교의 자립성을 절대적으로 고수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형이상학의 독자적 권리도 옹호”하는 공헌을 하였다. 그리하여 “종교적 초월자에로 나아가는 지향을 매우 조심스럽게 증시(Nachweis)하는 공을 세웠다”고 할 수 있다.

-신규탁(연세대 철학과 교수)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