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하는 극장’ 세 번째 시리즈 ‘음류(音流) : 모든 사이에 흐르는 사유의 음악’의 포스터.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제공.
‘사유하는 극장’ 세 번째 시리즈 ‘음류(音流) : 모든 사이에 흐르는 사유의 음악’의 포스터.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제공.

오른발을 왼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으로 턱을 살포시 괸 채 깊은 사유에 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미술작품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두 점의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2021년 상설전시관 2층에 전용 전시실을 조성했다. 이름하여 ‘사유의 방’이다. 이 전시실은 국립중앙박물관을 대표하는 공간이자 한국의 불교문화, 나아가 한국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사장 김용삼)은 ‘사유의 방’ 전시 연계 공연 ‘음류(音流) : 모든 사이에 흐르는 사유의 음악’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지난해부터 선보인 ‘사유하는 극장’의 세 번째 시리즈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은 지난 해 ‘사유하는 극장’ 시리즈로 국악과 밴드음악을 결합한 ‘요즘 것들의 사유’와 관객 몰입형 무용 퍼포먼스 ‘사유의 길’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 개·폐회식 음악감독이었던 재일교포 2세 음악가 양방언 씨가 자신의 음악 인생을 돌아보며 사유의 경험과 순간을 깊이 있는 음악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제일교포 음악가 양방언 씨의 피아노 연주 모습.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제공.
제일교포 음악가 양방언 씨의 피아노 연주 모습.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제공.

양 씨는 사유의 의미를 더해 편곡한 기존 곡과 새로운 곡으로 공연을 구성했다. 양방언 씨가 피아노를 연주하고, 바이올린 강이채, 비올라 박용은, 첼로 나인국, 플루트 오아라, 기타 박상현, 베이스 조후찬, 퍼커션 크리스토퍼 하디 등 국내·외 연주자가 함께 협연한다.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 당시 문화올림픽 총감독을 맡았던 김태욱 연출가와 개·폐회식을 담당했던 강보람 작가 등 연출진은 ‘물’과 ‘모래’를 활용해 음악과 어우러지는 깊이 있는 무대를 연출할 예정이다.

김용삼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은 이번 공연과 관련, “관객들이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에서 반가사유상을 마주하며 느낀 평온함을 다시 한 번 경험할 수 있는 공연이 될 것”이라며 “흐르는 음악과 무대에 자신을 온전히 맡기고 사유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음류(音流) : 모든 사이에 흐르는 사유의 음악’은 11월 3일 오후 7시 30분, 4일 오후 3시와 오후 7시, 5일 오후 3시 모두 네 차례 공연된다. 자세한 공연 정보는 재단 누리집(www.nm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