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합천 해인사 홍하문’. 문화재청 제공.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합천 해인사 홍하문’. 문화재청 제공.

사찰 일주문 6건이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일주문 6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8일 밝혔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일주문은 △합천 해인사 홍하문(紅霞門) △함양 용추사 일주문 △곡성 태안사 일주문 △하동 쌍계사 일주문 △달성 용연사 자운문 △순천 송광사 일주문이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주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일주문을 조사해 왔다. 지난해 12월에는 조사 대상 일주문 50여 건 중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높은 4건을 선별해 우선 보물로 지정한 바 있다.

‘합천 해인사 홍하문’은 언제 처음 건립됐는지는 알 수 업지만 세조 3년(1457) 중수 이후 지금까지 다섯 차례 중수됐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세조의 지원으로 해인사를 중창할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맞배지붕 겹처마 건물이다. 맞배지붕 일주문은 정면에서 볼 때 공포를 다섯 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일주문은 6개여서 상대적으로 웅장하다.

‘함양 용추사 일주문’은 숙종 37년(1711) 건립됐다. 원래 장수사 일주문이었는데, 한국전쟁 당시 이 절이 불탈 때 유일하게 화를 면했다. 팔작지붕 겹처마 구조다. 정면에서 볼 때 7개 공포로 구성돼 웅장하다.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하동 쌍계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하동 쌍계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곡성 태안사 일주문’은 조선 전기인 중종 16년(1521) 창건됐다. 당시 이름은 ‘조계문(曹溪門)’. 조선 전기에 건축물이면서도 조선 후기 공포 형식과 짜임을 볼 수 있어 창건 이후 지속적으로 보수돼 왔음을 알 수 있다. 화려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된 주기둥 상부 안쪽 용두가 인상적이다.

‘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인조 19년(1641)에 세워졌다.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에서 볼 때 5개 공포, 전체 14개 공포로 구성돼 있는데, 측면 규모가 큰 편이다.

‘달성 용연사 자운문(慈雲門)’은 숙종 21년(1695)에 창건됐다. 상량문과 중수기가 남아있어 건축연대와 중수연대가 확실하다. 우진각 지붕틀을 구성한 뒤 맞배형 덧지붕을 씌워서 지은 팔작지붕 건물이다. 주기둥 부재가 하부에서 벌어지는 비스듬한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순천 송광사 일주문’은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순조 2년(1802) 중창됐다. 헌종 8년(1842) 큰 화재로 송광사 전각 대부분이 불탔을 때 건재했다. 맞배지붕 겹처마지붕으로, 정면에서 볼 때 5개 공포, 전제 12개 공포로 구성됐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