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미탄사지 금당지 전경. 문화재청 제공.
경주 미탄사지 금당지 전경.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룡사지 남쪽에 있는 미탄사지(味呑寺址)의 사역과 규모가 확인됐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함께 6월 30일 오후 발굴조사 현장에서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주변 발굴조사 성과 설명회’를 개최했다.

조사 결과 ‘미탄사’는 8세기 후반 황룡사지 남쪽 신라방 내 가옥에서 사찰로 전환되어 13세기까지 운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역은 왕경을 일정 영역으로 나눈 일종의 도시구획 형태인 방리제(坊里制) 안에 있었으며, 방내도로로 구획됐다. 사역은 세로 약 160m, 가로 약 75m, 면적 1만 2000㎡에 달했다. 사역 안에서는 삼층석탑과 금당지를 비롯해 여러 동의 부속 건물과 원지(園池), 담장, 우물, 배수로 등이 확인됐다.

사역은 삼층석탑과 금당으로 구성된 예불 공간, 승려들이 거주하는 승방, 부속 건물 등으로 구성된 생활공간, 그리고 원지 일원의 후원공간으로 나눠진 것으로 확인됐다.

통일신라시대 미탄사지 영역 구분도. 문화재청 제공.
통일신라시대 미탄사지 영역 구분도. 문화재청 제공.

주목할 만한 것은 미탄사의 가람배치가 신라왕경 내 여느 사찰과 다른 형태라는 점이다. 추정 문지-탑-금당이 남북으로 배치됐는데 금당이 탑의 중심축선상에 벗어나 있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미탄사가 8세기 이후 신라왕경의 도시가람으로 지어진 귀족층의 원찰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시대 왕경 사찰 연구에 있어 학술적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금당지 북서쪽에서는 약 33×28m 규모의 원지가 확인됐다.동벽과 북벽은 강돌을 여러 단 쌓아 직선형으로, 서벽과 남벽은 자연지형을 이용해 곡선형으로 호안을 조성해 “신라 왕경의 원지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됐다.

이와 함께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하부를 조사한 결과 8세기 후반에 건립됐음을 확인했다.

《삼국유사》에 “미탄사 남쪽에 최치원의 옛 집터가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실존 여부를 알 수 없었던 미탄사는 2014년 문화재청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에서 ‘미탄(味呑)’이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면서 위치가 확인됐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