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선원사 지장시왕도 변성대왕 관모에 그려진 태극기. 선원사 제공/불교닷컴.
남원 선원사 지장시왕도 변성대왕 관모에 그려진 태극기. 선원사 제공/불교닷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진응 스님(1873~1941)이 불화 속에 남긴 태극기가 100여 년 만에 발견됐다.

대한불교조계종 선원사(주지 운문)는 최근 “주지 운문 스님이 명부전에서 기도하던 중 ‘지장시왕도’에 그려진 독립운동가들이 사용했던 형태의 태극기를 발견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 태극기는 지옥을 관장하는 10대왕 가운데 제6대왕인 변성대왕 관모에 어른 손바닥 크기(가로×세로, 8.5×3cm)로 그려져 있었다. 태극의 지름은 2.2cm이다. 태극의 양은 홍색, 음은 뇌녹색으로 채색됐고, 양 태극을 백색이 둘러싸고, 위쪽에 건괘와 리괘, 아래쪽에 곤괘와 감괘를 배치했다.

운문 스님은 “‘지장시왕’도 하단 화기에 태극기가 그려진 시기가 쓰여 있다”고 말했다. 이 탱화 화기에는 1917년(대정 6년) 11월 5~17일, 당시 주지 기선 스님이 당대 최고 학승이었던 화엄사 주지 진응 스님에게 괘불탱화 제작 전 과정을 증명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다.

스님은 “10대 명왕 가운데 변성대왕 관모에 태극기를 그려 넣은 것은 총칼로 대한제국을 멸망시킨 일제가 결국 총칼로 망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변성대왕은 칼산으로 된 도산지옥 등을 관장하는 10대 명왕 가운데 하나이다.

태극기가 발견된 남원 선원사 명부전 지장시왕도. 선원사 제공/불교닷컴.
태극기가 발견된 남원 선원사 명부전 지장시왕도. 선원사 제공/불교닷컴.

태극기 전문가인 송명호 전 문화재전문위원은 “불화에서 항일 독립운동 태극기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항일지장시왕도’라고 해도 손색없을 근대 문화재로서 가치가 크다”고 했다. 이어서 “선원사 태극기는 1910년대 이후 사용된 독립운동시대 태극기 문양과 같다. 태극기가 오늘날 형태로 정착되기 전 단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제는 1911년 칙령 19호를 공포해 태극기를 말살하고 대신 일장기를 걸도록 했다. 선원사 지장시왕도 태극기는 독립을 바라는 불교계 서원을 담은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일제 치하였던 1910년대, 탱화 제작 등 모든 예술 행위는 일제의 검열을 받았다. 태극기는 처음부터 그려진 것은 아니고, 검열 이후 곧바로 눈에 띄지 않도록 작게 제작했을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전문가 견해를 더해서 선원사는 문화재 당국에 태극기 발견을 신고하고 근대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한다. 또, 제104주년 3·1절을 앞두고 자주독립의 상징인 태극기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 제보 cetana@gmail.com]

※ 제휴매체인 <불교닷컴>이 제공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