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와 거북이 목각인형. 사진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토끼와 거북이 목각인형. 사진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계묘년 토끼띠 해를 맞아 3월 6일까지 관내 기획전시실 2에서 ‘새해, 토끼 왔네!’ 특별전을 개최한다.

특별전은 △프롤로그 - 계묘년 토끼 △생태만상(生態萬象) △변화무쌍(變化無雙) △달 토끼 △에필로그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로 구성됐다. 특별전에는 판소리 <수궁가>의 한 장면을 묘사한 ‘토끼와 자라 목각인형’, 두 마리 토끼를 그린 조선시대 민화 ‘쌍토도(雙兔圖)’ 등 자료 70여 점을 선보인다.

토끼는 장수의 상징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홍만선(洪萬選, 1643~1715)은 저서 《산림경제(山林經濟)》에 “토끼는 1000년을 사는데 500년이 되면 털이 희게 변한다고 한다”라고 적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던 토끼는 회색이나 갈색의 멧토끼였는데, 간혹 눈에 띄는 색소결핍증을 가진 흰 토끼에 장수의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조선시대 회화작품 ‘화조영모도’에 흰 토끼가 많이 등장하는 것도 장수를 기원했기 때문이다.

토끼는 지혜의 상징이기도 하다. 설화 속에 등장하는 토끼는 호랑이에게 먹힐 위기에서 침착하게 기지를 발휘하는 동물이다. 또 판소리 <수궁가>와 한글소설 <별주부전>에서는 부패한 권력을 풍자하는 지혜로운 서민의 대변자로 묘사됐다. 실제 토끼의 지능은 50정도로 48인 호랑이와 20인 거북이보다 높은 편이라고 한다.

토끼는 달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윤극영의 동요 <반달>에서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라고 하였듯이 토끼는 달 속에서 방아를 찧고 있는 동물로 인식되기도 한다. 옛 스님의 가사에서는 해를 상징하는 삼족오와 함께 토끼가 달을 상징하는 동물로 장식되기도 했다.

토끼는 다정한 토끼 한 쌍을 그린 ‘쌍토도(雙兔圖)’처럼 부부애와 화목한 가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특별전을 준비한 국립민속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오랫동안 우리 삶 속에서 함께 해 온 토끼의 생태와 민속을 알아보고, 깡충 뛰어오르는 토끼처럼 2023년 행복과 행운이 상승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민속박물관은 최근 《한국민속상징사전》 ‘토끼편’을 발간했다. 토끼의 생태부터 세시풍속·설화·노래·속담·유물에 관한 해설까지 토끼의 문화적 상징성과 학술 가치를 풍성하게 수록했다.

‘토기편’은 내년 1월 30일부터 《한국민속상징사전》 누리집(folkency.nfm.go.k)과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www.nfm.go.kr)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거나 원문을 내려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