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도리사에 조성된 아도 화상 동상. ⓒ 이창윤.
구미 도리사에 조성된 아도 화상 동상. ⓒ 이창윤.

최초로 신라에 불교를 전한 아도

삼국유사 흥법 편을 보면 신라에 처음 불교를 전한 스님은 아도이다. 한자로 표기하면 아도(我道)와 아도(阿道)이다. 또 아두(阿頭)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와 관련된 내용을 전하고 있는 사료는 <아도본비(我道本碑)>와 <신라본기(新羅本記)>이다. 아도본비는 현존하지 않지만 그 내용이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다.

위(魏)나라 제왕(齊王)이 사신 아굴마(我崛摩)를 고구려에 보냈다. 그는 고도령(高道寧)과 사통하였고, 그가 돌아간 후 아도(我道)가 태어났다. 다섯 살에 출가한 후 16살이 되자 위나라에 가서 아굴마를 만나고 현창(玄彰) 화상에게 배웠다. 19살 때 돌아오니 어머니가 다음과 같이 일러주었다.

“신라는 아직 불법을 모르지만, 이후 3천여 월이 지나면 계림에 성왕(聖王)이 출현하여 불교를 크게 일으킬 것이다. 경주에는 일곱 곳의 절터가 있다. 첫째는 금교 동쪽의 천경림(天鏡林; 지금의 흥륜사), 둘째는 삼천기(三川歧; 지금의 영흥사)요, 셋째는 용궁 남쪽(지금의 황룡사)이요, 넷째는 용궁 북쪽(;지금의 분황사)이요, 다섯째는 사천미(沙川尾; 지금의 영묘사)요, 여섯째는 신유림(神遊林; 지금의 사천왕사)이요, 일곱째는 서청전(婿請田; 지금의 담엄사)이다.모두 과거 부처님 시대의 절터로 불법의 물결이 길이 흐를 곳이다. 네가 그곳으로 가서 대교를 전파하고 선양하면 석존의 가르침이 동방으로 향해올 것이다.”

아도가 분부를 받들고 미추왕 즉위 2년(263) 계림에 와서 왕성 서쪽 마을에 머물렀다. 대궐에 나아가 교법을 행하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세상에서는 전에 보지 못하던 것이라고 하여 꺼리고 심지어 그를 죽이려는 사람까지 있었다. 일선현(一善縣) 모례(毛禮)의 집으로 도망가 숨었다.

3년이 지났을 때 공주가 병이 났는데 무의(巫醫)도 효험이 없자 사람을 사방으로 보내 의원을 구하였다. 아도가 급히 대궐로 들어가서 마침내 그 병을 고쳤다. 왕은 크게 기뻐하며 그 소원을 물으니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빈도(貧道)는 백에 하나도 구할 것이 없고, 다만 천경림에 절을 지어 불교를 크게 일으켜 나라의 복을 비는 것이 소원일 뿐입니다.” 하였다.

왕은 이를 허락하고 공사를 착수하도록 명령하였다. 당시 풍속이 질박 검소하여 띠풀을 엮어 지붕을 이었다. 아도는 여기에 머물면서 강연하니 가끔 천화(天花)가 땅에 떨어졌다. 절 이름을 흥륜사라고 하였다. 오래지 않아 미추왕이 돌아가자 나라 사람들이 그를 해치려 하였다. 아도는 모례의 집으로 돌아와 스스로 무덤을 만들어 그 속으로 들어간 후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불교 신앙이 폐지되었다가 23대 법흥왕이 514년 왕위에 오른 후 불교를 다시 일으켰다. 미추왕 2년(263)부터 252년 뒤의 일이다. 고도령이 예언한 3천여 월이 들어맞았다.

<신라본기>에 전하고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제19대 눌지왕(訥祗王) 때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로부터 일선군에 이르렀다. 묵호자 모습도 아도와 비슷하였다. 그곳에 살고 있던 모례가 자기 집 안에 굴을 파서 그가 있게 하였다. 그때 양(梁)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의복과 향을 전해왔다. 군신은 그 향의 이름과 용도를 몰라서 사람을 시켜 향을 들고 전국을 다니면서 묻게 하였다. 그것을 보고 묵호자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것은 향이라고 하는데, 이를 사르면 향기가 매우 강하여 신성(神聖)에게 정성을 통하게 할 수 있다. 신성은 삼보보다 나은 것이 없으니, 만약 이것을 사르고 발원하면 반드시 영험이 있을 것이다.”

이때 왕녀가 몹시 위독하였다. 묵호자를 불러들여 향을 사르며 소원을 표하게 하니 왕녀의 병이 곧 나았다. 왕이 기뻐하며 예물을 후하게 주었다. 그런데 얼마 후에 사라져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또 21대 비처왕(毗處王) 때 아도(阿道)가 시자 3명과 함께 모례의 집에 왔다. 그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하였다. 수년간 머물다가 병도 없이 죽었다. 시자 3명이 남아 경률을 강독하니 2신봉자가 생겼다.

구미 도리사 전경. 2004년 1월. ⓒ 이창윤
구미 도리사 전경. 2004년 1월. ⓒ 이창윤

설화의 의미와 전래 시기

신라불교 전래 설화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가장 빠른 것이 신라 제13대 미추왕 2년(263)에 고구려 승려 아도(我道)이다. 다음은 제19대 눌지왕 때(417~458) 묵호자(墨胡子)이다. 세 번째는 제21대 비처왕 때 묵호자와 모습이 비슷한 아도(阿道)가 시자 3인을 데리고 와서 일선군 모례의 집에 머물다가 죽었다.

이 가운데 미추왕 때 설화는 두 가지 의도를 갖고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미추왕 때 전래는 고구려와 백제의 초전보다 빠른 기록이다. 미추왕은 박 씨와 석 씨로 이어지던 신라 왕위 계승에서 김 씨로는 처음 왕이 된 인물이다. 따라서 김 씨의 왕위 계승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에서 후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천여 개월 뒤에 불교가 흥할 것과 일곱 군데의 절터가 있다는 것은 신라가 부처님과 인연이 있는 나라 ‘불연국토사상(佛緣國土思想)’을 의미한다. 즉 신라는 불국토임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것은 삼국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라를 지키는 것은 부처님의 나라를 지키는 성스러운 일이라는 종교적 신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런 설화들은 후대에 기록된 것이어서 사실 여부를 논하기는 곤란하나 공통적인 특징은 신라에 불교가 전래해준 나라는 고구려이며, 그 전래 지역이 일선현 모례의 집이다. 그곳은 현재 경북 선산으로 비정되고 있다. 그리고 불교가 교화될 수 있었던 계기는 향의 용도를 알려주거나 공주의 병을 고쳐준 것 등 특별한 계기가 있었다. 또한 전법 포교승은 한두 명이 아니고 다수가 온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의 불교수용이 어려웠던 것은 지리적으로 동남쪽에 위치해 교통이 불편하고 폐쇄적인 지역이었고, 다른 이유는 부족국가 시대부터 이어진 토속 신앙이 강하여 불교와 같은 외래 신앙을 받아들이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신라에서 이차돈의 순교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는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 공주의 치병과 또는 외국 사신의 공경 등 결정적인 계기를 맞아 포교할 수 있었지만 지속되지 못하고 순교하는 등 어려움을 겪은 것이다.

여러 설화가 전해지는 탓에 신라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가 언제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여러 가지 기록을 유추해보면 대략 고구려나 백제의 전래보다 50여 년이 지난 19대 눌지왕(417~458) 때로 추정된다. 이 무렵 신라는 17대 내물왕부터 왕위세습제가 확립되어 고대국가로 정착되던 시기이며, 눌지왕 다음 왕이 자비왕(慈悲王)으로 불교적인 왕명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구미 도리사에 있는 아도 화상이 참선했다는 바위. ⓒ 이창윤
구미 도리사에 있는 아도 화상이 참선했다는 바위. ⓒ 이창윤

아도와 선산 도리사

신라에 불교를 최초로 전래한 스님은 아도(我道, 阿道), 아두(阿頭), 그리고 묵호자(墨胡子)이다. 우리는 이 명칭을 스님의 법명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명칭은 이름이 아니다. 형상을 지목하고 있는 지목지사(指目之辭)이다.

먼저 아도라는 명칭은 아두삼마(阿頭彡摩)에서 나온 명칭이다. 여기에서 아두는 아이 머리를 지칭하며, 삼마는 터럭을 깎았다는 말이다. 당시 신라 사람들은 스님을 몰랐고, 그들의 외형이 모두 아이 머리처럼 머리카락이 없었기 때문에 아두라 한 것이다. 이런 명칭을 후대 아도로 기록하면서 법명처럼 된 것이다.

묵호자 역시 스님의 법명이 아니다. 그 뜻을 잘 살펴보면 묵은 검다는 뜻이고, 호는 오랑캐이다. 그렇다면 묵호자는 검은 오랑캐이므로 그것은 고구려인 그리고 중국의 승려도 아니고 서역에서 온 스님일 가능성이 크다. 신라인들이 서역의 스님을 처음 보고 그들을 말할 때 먼저 형색을 지칭하는 말을 썼을 것이다. 우리가 이름을 모르는 사람을 물을 때 그 사람의 형색을 말하면서 물어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미추왕 때 아도는 일선현 모례의 집에 숨어 있다가 공주의 병을 고친 인연으로 신라의 수도 경주에 포교할 수 있었다. 눌지왕 때 온 묵호자도 아도와 모습이 비슷하였다. 비처왕 때 온 아도 역시 묵호자와 모습이 비슷하다고 전해진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신라에 최초로 불교를 전한 스님은 서역인이다.

이들은 왕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포교를 허락받았지만 계속 이어지지 못했다. 토속 신앙자의 반대로 포교를 중단하고 다시 일선현 모례의 집으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일선현 모례의 집은 지금의 경북 선산 지역이다. 이곳으로 아도가 왔다가 인연이 되어 경주에 불교를 전하였다. 그 후 여건이 나빠지자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왔다. 그가 돌아올 때 날씨가 차가운 계절임에도 불구하고 복숭아꽃과 오얏꽃이 만발하였다. 상서로움을 느껴 절을 짓고 이름을 도리사라 하였다. 이곳에는 아도 화상의 사적비와 함께 그가 참선한 바위가 있다. 그리고 언제 조성되었는지 알 수 없는 아도 화상의 석상(石像)이 발견되는 등 그와 관련한 유적과 유물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는 사이 대중들에게 이곳은 신라불교 초전지로 불리게 되었다.

김경집 | 전통문화대학교 외래교수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