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로 추가 지정된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 - 변상도’. 사진 문화재청.
국보로 추가 지정된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 - 변상도’. 사진 문화재청.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에서 발견된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와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 - 변상도’가 국보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에 추가 지정되고,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과 백천사가 소장한 ‘달마대사관심론(達磨大師觀心論)’이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청장 김현모)가 4월 26일에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4’와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5 - 변상도’는 조선 15세기에 조성됐다. 두 경전은 이미 국보로 지정된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2·3·5, ‘백지금니 묘법연화경 권2 - 변상도’와 서지 형태가 같고,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두 건 모두 복장유물로 일괄 납입됐을 정황이 분명하다.”며, “복장유물의 완전성을 높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보로 추가 지정했다”고 밝혔다.

보물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사진 제공 문화재청.
보물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사진 제공 문화재청.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은 1938년 6월 조선불교 총본산(總本山) 건립 때 영암 도갑사에서 조계사로 이운한 불상이다. 명나라 티베트 불상 양식을 수용한 매우 희귀한 불상이라는 점, 남아있는 작품이 드문 15세기 불상 중 조형성과 예술성이 우수한 점, 일제강점기 왜색불교를 배척하고 조선불교의 자주성과 정통성을 확보하려 한 당시 불교계의 염원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보물로 지정됐다.

‘달마대사관심론’은 고려 충숙왕 복위 4년(1335) 경주 계림부에서 개찬된 목판에서 조선 초기에 인출한 판본이다. 현재 전하는 같은 자료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고, 마지막 장에 간행기와 판각에 참여한 각수(刻手), 간행에 관여한 경주부 소속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어 간행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보물 ‘달마대사관심론’. 사진 제공 문화재청.
보물 ‘달마대사관심론’. 사진 제공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이들 불교문화재 외에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된 총 580수의 노랫말을 수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歌集, 시조집)인 ‘청구영언(靑丘永言)’과 고려선박인 ‘태안선(泰安船)’을 조사하던 중 찾아낸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춘추시대 역사서 《춘추(春秋)》의 주석서로 세종 13년(1431) 청도에서 원판을 번각해 간행한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도 함께 보물로 지정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