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를 관통하며 치열하게 살았던 우리 시대의 큰 스승 석주 스님(1909~2004, 前 재단법인 선학원 이사장)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불교신문과 봉은사가 5월 1일 봉은사 법왕루에서 ‘근ㆍ현대 한국불교의 산증인 석주 큰스님’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 것. 세미나에는 총무원장 지관 스님, 동국역경원장 월운 스님, 석주 스님 문도대표 월호 스님, 중앙승가대 총동문회장 정념 스님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발표된 논문 3편에 나타난 석주 큰스님의 발자취를 좇았다.

 

“원력 세우되 집착 않고 하심”
석주 스님은 오랜 세월을 도심에서 정진하면서 종단 행정에도 참여하고 교육·포교·복지 불사 등에도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기력에 부담이 되는 ‘부처님 오신날 연등행렬’에까지도 참석했다. 이런데서 스님의 원력에 의한 끊임없는 정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스님은 어디에 가도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예를 들면 조계종 총무원장에 세 번을 취임했으나 모두 합쳐도 재임기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어느 정도 수습이 되면 바로 떠나는 것이 스님의 모습이었다. 지위나 공로에 집착하지 않고 화합과 회향의 도행을 실행했으니, 이것은 석주스님의 무주행이다.
“수행자는 학문만으로 되는 것도 아니며, 외형적 태도만으로 되는 것은 더구나 아닌 것이다. 한마디로 부처님의 인격에 닮아지고, 부처님의 덕행이 몸과 마음속에 젖어지고 배어서, 오늘의 한국불교계 중흥조의 산실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말씀은 마음을 숙연하게 한다.
석주 스님은 참선, 염불 간경과 같은 수행을 기본으로 하되 ‘원행도·무주도·하심도’를 평상시의 생활 속에서 일상수행으로 진정성을 담아 실행하는 ‘석주 스님 도풍’을 이뤘다. 앞으로 한국불교의 새로운 수행의 법풍을 모색하는데 좋은 귀감이 될 것이다. <중앙승가대 총장 종범 스님의 기조발제 ‘석주 스님의 수행 도풍’ 중에서>

 

“불교 사회복지 기틀 마련한 선각자”
석주 스님은 한국불교 3대 과제라는 역경·도제양성·포교 등의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업적을 남긴 유일한 스님이다.
스님의 문서 포교(역경) 출발점은 1949년 선학원에서 설립한 한글 선학 간행처이다. 운허·대의 스님과 합심해 만들었으며, 주로 어려운 선어록을 한글로 번역, 간행했다. 또 1964년 ‘동국역경원’이 개원되자 부원장 겸 역장장을 맡아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2000년 『한글대장경』 318권이 완역 출간되도록 했으며, 동국역경사업진흥회 이사장, 동국역경원 한글 팔만대장경 역경사업 후원회 회장을 맡아 큰 힘을 보탰다.
또한 스님은 일찍부터 어린이 포교운동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다. 학교 단위의 ‘불교학생회’라는 조직은 명실상부한 학생 불자의 저변을 다지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대한불교청소년교화연합회’를 설립해 청소년 불자들을 후원하고, 찬불동요와 불교 동화 등의 문화 분야도 적극 후원했다.
중앙승가대학의 설립과 사회복지학과 개설은 불교사회복지에 있어서 스님의 가장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승가대 내 사회복지학과 설치는 복지사업 실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인 인재양성의 발판이 됐다. 2006년 현재 576명의 사회복지사를 배출했다. 스님의 원력으로 승가대는 ‘사회복지법인 승가원’을 설립해 현재 13개의 산하시설을 운영하는 등 불교계 최고의 법인으로 불교 사회복지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중앙승가대 교수 보각 스님의 ‘포교활동과 사회복지에 끼친 석주 스님’ 중에서>

 

“민족불교…만해정신 계승”
석주 스님은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중심에서 승려로서 자신의 삶을 치열하게 구현했다. 스님의 삶에서 선학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스님은 선학원에서 행자 수업을 하고, 출가했다. 만해 한용운을 만나 시봉하고 자연적으로 민족, 민족불교에 대한 꿈을 키워 갔다.
1941년 서울 선학원에서 열린 유교법회(遺敎法會. 고승법회)는 석주 스님에게 정화의 필요성을 각인시켜준 계기가 됐다. 당시 청담 스님과 운허 스님은 항일민족불교 수호를 주창하며 서울 선학원에서 유교법회를 열었다. 일제 식민지 불교정책, 승려의 세속화, 수행의 파탄, 계율의 파탄 등을 극복하려는 의도에서 마련된 이 자리는 자연히 민족불교 노선을 띠게 됐다. 이때 청담스님과의 인연은 이후 불교정화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
해방 후, 한국불교계에 혁신바람이 일었다. 이 시기에 석주 스님은 재야 혁신단체의 그룹에 속해, 선학원에 머무르며 불교 및 교단혁신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이는 민족불교를 구현하는 과정이었다. 1950년대 시작된 불교정화운동을 통해서도 스님은 민족불교 구현을 위해 노력했다. 정화운동 초기,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 정화불사에 참여했다.
그러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