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무의식적으로 금기시해온 죽음이 이제는 삶의 한 과정으로 간주되고 있다. ‘잘 산다는 것은 잘 죽는다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도 늘고 있다. 이를 위해 강조되는 것이 죽음 준비다. 자신과 가족의 죽음을 미리 대비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고,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의 삶을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온 말이 웰다잉(Well-Dying)이다.

최근 현대불교신문이 1215명의 불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00세 시대-불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7.3%가 죽음준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한 응답자는 20~30대에서 50%대에 머물렀지만, 40대 69.5%, 50대 73.2%, 60대 80.8%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죽음준비를 필요로 하는 비율이 높았다.
미국의 경우 1960년대 미네소타 대학에 ‘죽음의 준비과정’이라는 교과가 개설된 것을 시작으로 1970년대 들어 전국에 1100여개 과정이 개설됐고, 초·중등 교과서에도 반영됐다. 일본도 삶과 죽음 교육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2005년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이처럼 불교계의 죽음준비 관련 활동이 산발적인 수준에 머무는 이유에 대해 권경임 한국종교사회복지포럼 회장은 “죽음준비의 중요성에 대한 불교계의 인식이 미흡한데다, 불자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할 수 있는 불교계 병원이 적다는 데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불교계에도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능인선원과 대원사, 관음사 등은 이미 몇 해 전부터 불교적 윤회·생사관과 웰다잉을 접목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 능인선원은 죽음준비교육 수련회 ‘빛으로 태어나기’를 최근 1박2일로 진행했다. 보성 대원사도 ‘죽음을 준비합시다’라는 특별 수련회를 매달 셋째 주 진행하고 있다. 이들 수련회는 유언장 작성과 관에 들어가는 임종체험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 있다. 대구 관음사는 영남불교대학 5층에 내생체험관을 마련해놓고 극락과 지옥을 체험할 수 있도록 꾸며놓았다.
대원사 특별수련회 참가자들은 “저승체험실에 들어가 관에 눕는 순간, 인생이 무상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내가 너무 집착하고 욕심 부리며 살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내일 죽는다면 오늘 무엇을 할 것인지를 떠올리며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그러나 불교계 웰다잉 운동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각 사찰이 진행하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단조롭다는 지적도 있다. ‘임종체험’과 ‘유언장 작성’ 등에 집중돼있고, 일회적ㆍ이벤트적 성격이 짙을 뿐 아니라, 타종교 호스피스 프로그램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불교적 웰다잉에 대한 강좌와 체험프로그램도 속속 개설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개별사찰의 수련회 성격에서 벗어나, 불교적 죽음준비교육 방법을 정립하기 위한 참고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 봉은사는 6월 20일~8월 29일 10주간 ‘아름다운 삶, 아름다운 회향 웰다잉 체험교실’을 진행한다. 봉은사 교육국장 선업 스님은 강좌 개설 이유를 “자아성찰을 통해 죽음을 이해하는 단계까지 이르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수강생 모집 하루 만에 정원이 마감되고 대기자만 100명이 넘을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불교계 복지관인 서울노인복지센터도 노인들을 대상으로 불교적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인 ‘사(死)는 기쁨’을 운영해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3월에 시작해 올해 11월까지 이어지는 ‘사는 기쁨’은, 인생회고, 임종의식, 호스피스, 생명나눔서약, 상장례봉사, 사(死)축제 등을 통해 불교적 죽음에 대해 체험해나갈 수 있도록 구성돼있다.
보성 대원사는 템플스테이에 죽음교육을 접목했다. 대원사(주지 현장)는 지난 해 템플스테이 주제를 ‘죽음을 준비합시다’로 정하고, 사후 49일간을 미리 겪어보는 바르도 체험과 임종염불 등을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좋은 호응을 받았다.
단편적인 임종체험은 자칫 죽음에 대한 두려움만을 불러일으키거나 개인적인 경험에서 그치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모든 교육프로그램이 그룹 활동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사는 기쁨’ 프로그램의 핵심은 죽음과 삶이 다른 것이 아님을 깨닫고 주변과 나누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불교적 웰다잉의 핵심이자 최상의 죽음 준비는 바로 ‘적선(積善)’이라고 입을 모으며, 지난해 열반한 前 총무원장 법장 스님이 불교적 웰다잉의 표본이라고 꼽았다. 미리 죽음을 준비하고, 시신을 기증한 후 화장(火葬)할 것을 유언했던 모습이 불교적 웰다잉의 귀감이라는 것.
생사학연구소장 오진탁 교수(한림대 철학과)는 “기독교적 죽음관에 입각한 호스피스 교육이나 임종체험이 아닌 불교적 죽음준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