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낙동강 수문조차 개방하지 못하고 임기를 끝낸다면, 낙동강 녹조라떼 사태 해결은 오랜 기간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불교환경연대 등 환경운동단체가 참여한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이하 시민위원회)가 4대강 보 처리방안을 다루는 국가물관리위원회에 “4대강 자연성 회복 안건을 연내 의결하라.”고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을 12월 28일 발표했다.

시민위원회는 ‘정세균 국가물관리위원장은 좌고우면 말고 4대강 자연성 회복 연내 결정하라’는 제목의 성명서에서 4대강 보 처리 방안 결정을 미루고 있는 국가물관리위원회를 강하게 비판했다.

시민위원회의 성명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6호 업무지시’를 통해 “4대강 보를 상시 개방하고, 보 철거 등을 포함한 보 처리방안을 1년 안에 결정하라.”고 지시했지만, 지방선거, 국회의원 선거 등 정치일정과 수많은 위원회 통과 절차 등으로 1316일(12월 28일 기준)이 흐른 현재까지도 실행되지 않고 있다.

시민위원회는 4대강 보 처리방안을 결정할 국가물관리위원회가 논의 능력이 있는지 의심했다. 물 관리 분야 전문가여야 할 민간위원 상당수가 4대강 사업의 이·치수 효과에 대한 기본적 이해도 부족했다는 것이다. 또 4대강 보 처리방안도 금강·영산강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유역위)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다며 책임을 미뤘지만, 지난 9월 유역위가 4대강기획위원회의 원안을 통과시켰는데도, 국가물관리위원회는 3개월이 지나도록 여전히 처리를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위원회는 “국가물관리위원회가 금강과 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결정하지 못하고 지지부진하면서 한강과 낙동강 보 수문 개방과 처리방안은 아예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정치적으로 따지는 사이 2018년 부산 수돗물 공급 중단 사태에 이르렀던 낙동강이 방치되었고, 한강은 아예 논의에서 잊혀진지 오래”라고 비판했다.

이어 △보 처리 방안 연내 확정 △유역위 의견 중 보 해체 시기 관련 독소조항 삭제 △보 해체 및 개방 시기 명시 등 12월 2일에 개최한 기자회견과 국가물관리위원회에 보낸 항의 서한에서 밝힌 요구사항을 재차 강조한 시민위원회는 정세균 국가물관리위원장에게 “환경부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강·영산강 보 처리 방안에 대한 찬성 여론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더 이상 좌고우면 말고 4대강 자연성 회복 안건을 연내 의결하라.”고 촉구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정세균 국가물관리위원장은 좌고우면 말고 4대강 자연성 회복 연내 결정하라

지난 2017년 5월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6호 업무지시'를 통해 즉각적으로 4대강 보를 상시개방하고, 보 철거 등을 포함한 보 처리방안을 1년 안에 결정하라고 지시했다. 그렇게 1316일이 흘렀고, 여전히 업무지시는 실행되지 않고 있다. 대통령의 4대강 자연성 회복 업무지시는 국민 다수의 지지를 받으며 지난 대선 기간 동안 대다수 유력 후보들의 공약이었고, 이번 정부의 국정과제다. 하지만 지방선거, 국회의원선거 등 정치일정에 밀리고, 수많은 위원회를 통과해야하는 절차의 미로 속에 갇혀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였다. 국가물관리위원회(이하 '국가물관리위')는 출범과 함께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보 처리방안 의결을 첫 안건으로 다루고 있지만, 시간만 하염없이 보내면서 저울질중이다.

국민들은 국가물관리위가 과연 4대강 보 처리방안을 논의할 능력이 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 지난 7월 뉴스타파의 보도에 따르면 국가물관리위원들의 논의수준은 경악할만한 것이었다. 국가물관리위는 민간위원과 정부 측 당연직 위원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물관리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논의를 풀어나가야 할 민간위원 중 상당수는 4대강사업의 이ㆍ치수 효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부족했다. 심지어 한 위원은 '(4대강 자연성 회복으로) 수질이 개선되면 정부가 더 이상 예산을 투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궤변을 늘어놓기도 했다.

결국 국가물관리위는 금강/영산강 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유역위')의 의견을 수렴해서 결정하겠다며 책임을 미뤘다. 국가물관리위는 유역위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지만 총리실이 나서서 이런저런 요구를 덧대는 바람에 유역위의 논의는 한참을 공전해야만 했다. 국가물관리위 공동 위원장인 총리가 나서서 유역위의 의사결정을 발목잡은 것이다. 유역위는 총리실의 개입과 지역 내 실질적인 이해관계자, 지역정치 등이 얽히고 섥힌 상황속에서도 지난 9월 4대강기획위의 원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유역위 통과 이후 3개월이 지나도록 국가물관리위는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국가물관리위가 금강과 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두고 지지부진해지면서, 한강과 낙동강 보 수문개방과 처리방안은 아예 논의 테이블에도 오르지 못하고 있다.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정치적으로 재고 따지는 사이 2018년 부산 수돗물 공급 중단사태에 이르렀던 낙동강이 방치되었고, 비교적 정치적 반대가 적은 한강은 아예 논의에서 잊혀진지 오래다. 문재인 정부가 낙동강 수문조차 개방하지 못하고 임기를 끝낸다면, 낙동강 녹조라떼 사태 해결은 오랜 기간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정세균 국가물관리위원장은 더 이상 좌고우면 말고 4대강 자연성 회복 안건을 연내 의결해야 한다. 4대강기획위가 2019년 2월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발표하고 2년의 시간이 흘렀다. 대통령의 업무지시를 이행할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우리는 지난 2일 기자회견 및 항의서한을 통해서 국가물관리위 측에 △보 처리방안 연내 확정, △유역위 의견 중 보 해체 시기 관련 독소조항 삭제, △보 해체 및 개방 시기 명시 등을 요구한 바 있다. 환경부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에 대한 찬성 여론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만일 연내 결정하지 못하고 해를 넘긴다면 국가물관리위의 존재의미가 무엇인지 국민들은 묻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국가물관리위는 스스로 존재이유를 국민들 앞에 증명해야 한다.

2020년 12월 28일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