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뜻깊은 한 해를 맞아 정부와 종교계, 시민사회 단체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의미를 되새기고 계승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불교계도 기념법회와 통일 염원 ‘삼만 일천 염주 만들기’ 행사, 만해 스님 유적지 탐방, 항일·통일운동 사진전, 학술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를 마련해 3·1운동 100주년을 기렸다.

주지하다시피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항거해 일어난 국권 회복, 민족자주 운동이었다. 3·1운동은 일제의 무력 탄압과 세계 열강의 외면으로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지만 민족사적으로나 사상사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 정신을 제대로 계승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 광복된 지 70년이 넘었지만 일제 잔재는 제대로 청산되지 않고,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뿌리 깊이 남아 있다.

불교계도 예외는 아니다. 식민통치가 남긴 일본불교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1950, 60년대 정화운동을 벌였지만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독신 승단의 전통은 복원시켰으나 은처와 범계가 공공연하게 행해지고 있고, 일제 사찰령은 불교재산관리법, 전통사찰보존법을 거치며 한국불교를 옭매는 올무로 여전히 남아있다. 일신의 영달을 위해 삼보정재를 축재하는 일도 비일비재하고, 불교문화의 뿌리가 되어야 할 교학도 일본불교학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호교(護敎)를 명목으로 친일을 일삼던 것처럼 호국불교 운운하며 권력에 기대는 모습도 여전하다.

지금 한국불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청정승가의 모습을 회복하고, 비불교적인 의식과 제도에서 한국불교의 정신과 자주성을 되찾는 일이다. 그것이 21세기 한국사회에서 1700년 한국불교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일이며, 3·1운동의 정신을 오롯이 지켜나가는 일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