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되면 더욱 종교에 의지하게 된다는 말은 이제 사실이 아니다.
▲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서울사회학'표지.


오히려 경제적 부를 누릴수록 종교활동이 활발해지고 경제적으로 곤란에 처하게 되면 종교활동이 위축되는 양극화 현상이 빚어지게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최근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이 펴낸 《서울사회학》에 실린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에서 나왔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은 동네일수록 종교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높다. 서울자치구별 유종교 비율 순으로 보면 강남구가 58.1%로 가장 높고, 강서구가 55.8% 송파구 53.6% 서초구 50.9%였다. 반면 은평구가 31.4%로 가장 낮았고 영등포구가 33.3% 도봉구가 33.7%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연구는 2015년 여론조사기관인 서울 서베이가 서울에 사는 만 15세 이상 4만 6800명을 대상으로 거주지별 종교 유무 등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번 조사결과에 의하면 젊은이들의 유종교율도 감소세로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젊은이들의 유종교율은 2007년 47.3%에서 2017년 42.8%로 10년새 4.5%가 줄었다. 이러한 현상은 통계청이 지난해 말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서도 종교인구가 43.9%로 감소세를 보인 것과 일치한다. 무엇보다 ‘종교가 없다’고 답한 비율이 56.1%로 전체의 절반을 넘긴 것도 처음이다.

이 연구결과를 놓고 볼 때 현실적으로 두드러진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된다. 즉 한국에서의 종교활동이 점점 더 중산층을 위한 종교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종교활동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더욱이 취업난 속에서 시간에 쫓기고 있는 젊은이들의 종교활동 위축과 종교인구 감소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이에 대해 포교일선에서 뛰고 있는 교계의 한 인사도 “불자수 300만 급감을 현실로 맞고 있는 불교계의 대응이 시급하다”면서 “연구결과를 심도있게 분석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