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연구소가 ‘다문화사회와 한국불교의 역할’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소는 “국내체류외국인이 약 150만 명(국내 총인구 대비 약 2.9%)에 달하는 시대를 맞아 한국불교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이웃종교의 이주민 지원활동 현황을 통해서 불교계의 현황과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결혼 전 24%에 달하던 불자가 결혼 후 한국에 이주하면 14%까지 떨어진다. 개신교의 경우 5%에서 13%로, 카톨릭은 17%에서 20%로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는 이주민 지원시설 현황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불교계가 운영하는 이주민 지원시설이 29곳인데 비해, 카톨릭은 1백46곳, 개신교는 6백 곳에 달한다.

불교사회연구소는 “다른 종교를 믿는 이들을 불교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극적 포교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로 이주하기 이전에 불교를 믿었던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국불교로 귀의하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은 한국불교와 조계종단의 의무”라고 규정했다.

이를 위해 불교사회연구소측은 네 가지 대안을 제안한다. 첫째는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불교 인프라를 최대 활용해 이주민과의 접촉빈도를 높이는 것이다. 각 교구본사는 교구의 관할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등의 출신국가와 종교 등 기본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불교문화권에서 이주해 온 이들을 불교계 이주민지원시설로 유입시키기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찰법회 참여를 위한 교통편의를 제공하거나 양육 및 노동 상담을 통해 이주민들에게 친숙한 한국불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방법의 하나다.

둘째는 이주민지원활동을 적극 펼칠 신자층 구축이다. 불교신자와 이주민을 ‘불교’와 ‘사찰’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인적네트워크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셋째는 이주민이 자체적으로 조직해 운영하는 공동체에 대해 불교계가 적극 지원하는 것이다. 현재 각 지역에는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이주노동자가 중심이 된 신행공동체가 운영되고 있다. 이 공동체를 통해 이주노동자들은 신행활동은 물론 노동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 등을 공유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웃종교의 이주민공동체 지원 사례를 참고해 불교문화권 국가출신으로 구성된 공동체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정지원과 지도법사 파견 등의 체계화된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는 이주민신행활동 지원을 위해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인스님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한국불교에 생소함을 느낄 이주민을 위해 외국인스님이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단, 외국인스님이 한국불교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갖출 수 있도록 ‘외국인스님연수프로그램’을 활성화해 인력 인프라를 키워야 한다. 현재도 조계종단에서 외국인스님연수를 1년에 한번 정도 공식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이를 더 늘리고 내용도 체계적으로 구성해 외국인스님이 이주민신행활동에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문화사회와 한국불교의 역할’ 보고서는 이주민현황에 대한 가장 최근자료를 인용해 이주민현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와 함께 개신교와 카톨릭계의 이주민지원활동을 구체적으로 개관해 불교계 이주민지원활동의 과제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꾸몄다. 다문화사회 속에서 종단차원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이주민지원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는 점도 이 보고서의 강점이다. 각 교구별 이주민구성현황을 구체적인 수치로 조사 표기해 종단 및 일선사찰의 이주민지원사업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의 기능도 가능하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02)730-0852

-강지연 기자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