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주(鄧州) 단하천연(丹霞天然, : 739~824) 선사는 어떤 사람인지 모른다. 처음에는 유교를 배우고 과거를 보러 서울에 갔다가 여관에서 쉬는데, 홀연히 흰 광명이 방안에 가득 차는 꿈을 꾸었다. 이에 점치는 사람이 공(空)을 알 징조라 해석하였다.
강서로 가서 마대사를 보자마자 손으로 복두(?頭 두건)의 이마를 치니 마대사가 잠깐 동안 돌아보고 말없이 있다가 “남악의 석두가 그대의 스승이다.”고 하였다.
바로 남악에 가서 앞의 뜻으로써 귀의하니, 석두가 말하였다.
“방앗간에나 가거라.”
대사가 절을 하고 행자들의 방으로 들어가서 순서대로 따라 부엌일을 3년 계속했는데, 어느 날 석두가 홀연히 대중에게 말했다.
“내일은 불전(佛殿) 앞의 풀을 깎으리라.”
이튿날, 대중과 아이들까지 제각기 낫을 가지고 풀을 깎았으나 대사만은 대야에다 물을 떠서 머리를 감고 화상 앞에 꿇어앉았다.
석두가 이를 보고 웃으면서 머리를 깎아주고, 또 계법을 말해 주려 하니, 대사는 귀를 막고 나가버렸다. 그리고는 강서로 가서 다시 마대사를 뵈었는데 절을 하기 전에 바로 큰 방으로 들어가서 성승(聖僧)의 목을 타고 앉았다. 대중이 모두가 깜짝 놀라 마대사께 알렸다. 마대사가 몸소 큰방에 들어와 보고서 말했다.
“내 자식아, 천연(天然)스럽구나.”
대사가 얼른 내려와 절을 하였다.
“이름을 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리하여 ‘천연’이라 부르게 되었다.
당의 원화(元和) 때에 낙경(洛京)의 용문(龍門) 향산(香山)에 가서 복우(伏牛) 화상과 헤어질 수 없는 벗이 되었다. 나중에 혜림사(慧林寺)에서 추운 날씨를 만났는데 대사는 목불(木佛)을 패서 불을 때니, 사람들이 비난을 하자 이에 대사가 말하였다.
“나는 불을 때고서 사리를 얻으려 했노라.”
그 사람이 말했다.
“나무 불상에 어찌 사리가 있으랴?”
“그렇다면 왜 나를 꾸짖는가?”
원화(元和) 3년에 천진교(天津橋) 위에 누워 있는데, 때마침 군수인 정(鄭)공이 나왔다가 꾸짖었으나 일어나지 않았다. 관리가 그 까닭을 물으니, 대사는 느릿느릿 말하였다.
“일없는 중이외다.”
군수가 뛰어나게 여겨 비단 필육과 옷 두 벌을 받들어 올리고, 날마다 쌀과 밀을 바치니, 이로부터 장안 사람들이 흔연히 귀의하였다.
천연선사의 천연스럽게 삭발하는 모습, 석두화상께서 계율을 설명하려는 순간 귀를 막고 나가버리는 거침없는 기행, 불상을 쪼개 불을 때고, 사람들이 비난을 하자 사리를 얻기 위해 부처님을 태웠다고 하는 초출함 등은 참으로 기행(奇行)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기행이란, 자재를 얻은 사람의 자연스러운 행임을 알아서 공부하고자 하는 발심 계기로 삼는 것이지, 기행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이를테면 부처님의 참 면목을 어찌 사량 분별로써 짐작할 수 있으며 대도의 지극한 자리를 어찌 5관6식(五觀六識)의 국량으로써 헤아릴 수 있겠는가. 이러한 선문답에서 추측으로 언설에 집착하는 경우, 선의 진수를 체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림자를 보고 실체를 말하는 것과 같은 어리석음을 범하게 될 것이다.
선이란 언설이 아니며 시청각(視聽覺)이 아니며 사량분별이 아니다. 오직 관념적 사고에서 벗어나 진솔하고 진솔한 마음으로 순수하고 무구한 실상에 계합하여 더 이상 버릴 것도 없고 구할 것도 없는 자리에 도달해야 하는 것이다.

혜거 스님/서울 금강선원장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