얽매임 없는 자유로운 경지가 반야 지혜의 공사상이니 그 경지에 인도하여 들어가게 하리라.

大乘正宗分 第 三
佛告須菩提(불고수보리)하사되 諸菩薩摩訶薩(제보살마하살)이 應如是降伏其心(응여시항복기심)이니 所有一切衆生之類(소유일체중생지류)에 若卵生(약난생) 若胎生(약태생) 若濕生(약습생) 若化生(약화생) 若有色(약유색) 若無色(약무색) 若有想(약유상) 若無想(약무상) 若非有想(약비유상) 非無想(비무상)을 我皆令入無餘涅槃(아개영입무여열반)하야 而滅度之(이멸도지)리라 如是滅度(여시멸도) 無量無數無邊衆生(무량무수무변중생)하되 實無衆生(실무중생)이 得滅度者(득멸도자)니라 何以故(하이고)오 須菩提(수보리)야 若菩薩(약보살)이 有我相(유아상) 人相(인상) 衆生相(중생상) 壽者相(수자상) 則非菩薩(즉비보살)이니라

한문 번역본을 의지한 한글번역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들은 응당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느니라. 세상에 있는 일체 중생들, 알에서 태어나고 태에서 태어나고 습기에서 태어나고 변화로 태어나는 것, 형색이 있고 형색이 없고 생각이 있고 생각이 없고 생각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것이 모든 종류들을 내가 완전한 열반에 들게 하리라. 이와 같이 한없고 끝없이 많은 중생들을 제도하지만 실제로 제도 받은 중생이 없어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자아에 대한 고집 인간에 대한 고집 중생에 대한 고집 수명에 대한 고집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범어 원본을 의지한 한글번역
스승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을 시작하셨다.
“스부-티야, 이제 불도를 구하는 길을 향하여 가려는 사람은 다음 같은 마음을 일으켜야 하느니라. 그것은 모든 살아 있는 것 가운데다 포함시킬 수 있는 온갖 생명 있는 것, 즉 알로 생겨난 것, 어미의 태에서 생겨난 것, 습기에서 생겨난 것, 남을 의지하지 않고 절로 생겨난 것, 형상이 있는 것, 형상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 생각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것, 그 밖에 생명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온갖 살아 있는 그 모든 것들을 내가 괴로움 없는 영원히 편안한 경지에 인도하여 들어가게 하리라.”(제 3 대승정종분 Ⅰ)

주석
마하살(摩訶薩) - 범어 mahasattra의 소리 번역. 뜻 번역은 위대한 사람, 훌륭한 사람.
알로 생겨난 것(卵生) - 범어 anda-ja. 알집에서 생겨난 생명. 즉, 새의 종류(鳥類).
어미의 태에서 생겨난 것(胎生) - 범어 jarayu-ja. 어미의 태에서 생겨난 생명. 즉, 젖먹이 종류(哺乳類).
습기에서 생겨난 것(濕生) - 범어 samsveda. 습기에서 생겨난 생명. 즉, 벌레 종류(昆蟲類).
남을 의지하지 않고 절로 생겨난 것(化生) - 범어 aupapaduka. 여러 하늘의 신(神)들, 귀신, 지옥중생 등의 다른 것을 의지하지 않고 절로 갑자기 생겨난 생명.
형상이 있는 것(有色) - 범어 rupin. 물질로 이루어진 모양이 있는 생명.
형상이 없는 것(無色) - 범어 arupin. 물질로 이루어진 모양이 없는 생명.
생각이 있는 것(有想) - 범어 samjnin. 표상작용(表象作用. 상징 즉, 감각을 요소로 하는 심적 복합체)이 있는 생명.
생각이 없는 것(無想) - 범어 asamjnin. 표상작용이 없는 생명.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생명(非有想 非無想) - 범어 samjnin asamjnin. 표상작용이 있는 것도 아니며, 표상작용이 없는 것도 아닌 생명. 즉, 모든 살아 있는 생명체로써 분류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그 모든 생명들.
무여열반(無餘涅槃) - 범어 anupadhisesah nirvana(dhatuh). 고뇌가 없는 영원히 편안한 경지의 뜻. 불교신도의 이상적 경지인 열반에 유여열반과 무여열반의 두 가지가 있으니, 모든 번뇌를 끊음으로써 미래에 생사를 뒤풀이 하는 원인을 아주 없애버렸으나, 아직 신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여열반이라 하며, 그 신체까지 없어졌을 때를 무여열반이란 미망(迷妄)이 아주 없는 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하여 영원의 진리로 돌아가서 거기에 하나가 된 경지를 말하는 것이다.

강설
공사상은 불교의 기본적인 사상인데, 이것을 아주 간단하게 표현한다면, 공사상이란 그 어디에도 얽매임이 없는 마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악한 데에 얽매이지 말아야함은 물론이지만 선한 일에도 집착함이 없어야 한다. 선한 일을 하려고 하는 나머지 그것에 집착하게 되면 오히려 거기에 얽매어져서 부자유하게 된다. 따라서 선에도 악에도 그리고 모든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하며, 이렇게 조금도 얽매임이 없을 때 크게 자유로운 것이며, 이것이 바로 공의 경지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마음으로 불도를 구하는 사람을 보살이라 하며 그러한 마음으로 자기도 스스로 깨닫고 또한 능히 남도 깨닫게 하기 위하여 물러나지 않는 커다란 용맹심을 발하여 많은 중생 가운데에 대자대비를 일으켜서 큰 일(大事)을 행하고 큰 법(大法)을 이루고, 큰 길(大道)을 걸어서 훌륭한 몸(大人相)을 성취하며, 그리고 반드시 법을 잘 설하여 일체중생과 자기 자신에게 있는 크게 잘못된 소견(大邪見)과 큰 아만(大我慢)과 큰 나라는 생각(大我心) 등의 모든 번뇌를 남음 없이 치워버리는(oo) 사람을 마하살(摩訶薩)이라고 한다.
그 보살 마하살은 일체중생을 영원한 평화와 행복으로 이끌어 들어가게 하는 일을 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이 세상에 있는바 모든 중생들의 종류를 크게 나누어서 새들과 같이 알에서 나는 것, 인간·소·말같이 어미의 태에서 나는 것, 벌레·모기·각다귀같이 습한데서 나는 것, 하늘 세계에 나듯 의지할 바 없이 스스로 나는 것 등의 네 가지 종류의 생명(四生)을 먼저 들고 있는데, 이것은 3계 가운데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생존의 세게 즉, 욕계의 일이며 다음의 형상에 있는 것이란 훌륭한 물질만이 있는 세계 즉, 색계의 일을 말하며, 형상이 없는 것이란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 즉, 무색계를 말하는 것이니, 이상의 욕계·색계·무색계의 3계가 모든 생명의 세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욕망과 형상이 있는 욕계와 색계에서 더 나은 선정을 수행하므로써 순수한 정신적 영역인 무색계의 경지에 이르고, 다시 더 항상하여 생각이 있는 것도 또한 없는 것도 아닌 비상비비상처에서 멸진정(滅盡定)으로 이르는 영원한 평화와 행복의 세계 즉, 열반의 경지에 들어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수보리가 기사굴산에서 수행하던 어느 날 그는 부처임께서 생후 7일 만에 돌아가신 생모 마야부인을 위하여 도리천에 석 달 동안 계시면서 설법하시다가 이제 돌아오신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 때에 여러 사람들이 저마다 남보다 먼저 부처님을 영접하려고 경쟁하듯 하였다. 그러나 수보리만은 생각하기를 “부처님의 모양이란 어떤 것인가.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뜻이 그것인가. 또는 지·수·화·풍 등의 물질적 요소가 그것이라 할 것인가. 아니다. 일체의 모든 것은 생명을 면치 못하는 것이요,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것이요, 임시적 존재에 불과한 것이니, 따라서 일체가 다 무상한 것이며, 공적(空寂)한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부처님을 뵙고자 한다면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다 무상하다고 보며, 부처님을 맞이하고자 한다면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다 무아(無我)임을 알고, 부처님을 예배하고자 한다면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다 공적함을 관(觀)하여야 할 것이다. 나는 일찍이 이와 같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들었고, 그래서 제법이 공적하여 모든 모양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실체가 없음을 이해하고, 제법의 실상은 무상하며 공적하며 무아임을 깨닫고 있기에 나는 이제 진실한 법에 귀의하면서 이대로 정진을 계속하리라”하고 지혜의 눈으로 부처님의 참 모습인 법신을 관찰하였다고 한다. 이때에 돌아오시는 부처님을 실제로 맨 먼저 영접한 사람은 연화색 비구니였습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그녀에게 말씀하시기를 “나를 제일 먼저 영접해 준 제자는 그대가 아니라 바로 수보리이니라. 수보리는 모든 것이 무아이며, 무상하며, 공적함을 관찰함으로써 나의 법신을 맨 먼저 보았기 때문이다.”고 하셨다 한다.
결국 우리들은 아무리해도 부처님의 육체적인 모습, 혹은 불상의 모양 등에 얽매어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석가모니불 그 분이시다 하고 생각하게 되며 그러한 생각에 집착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그러한 집착에서 벗어난 얽매임이 없는 자유로운 경지가 바로 반야지혜의 공사상인 것이며, 수보리 존자는 그것을 바르게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그와 같은 공의 경지에서 진정하게 부처님을 맞아 예배할 수가 있었던 것이며 『금강경』에서 그를 세워 그 경지에 드는 길을 묻게 한 것이다.
『금강경』의 총체적 내용으로는 공의 사상 공관(空觀)의 입장에 서서 그것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마음가짐을 누누이 말하고 있는 점이 중요하다. 이 『금강경』에 의한다면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적 수행이란 공관 즉, 공의 사상이 뒷받침 되어진 것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그 어떤 것에 마음이 얽매여 있거나 그 어느 일에 집착하는 경향이 너무 많지만, 그러나 그 어디에도 집착하는 바 없는 진실한 마음 즉, 깨달음의 마음을 쓰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온갖 법이 공한 이치를 깨달아 실행한 부처님 제자들 가운데서 수보리 존자는 첫째로 꼽히는 제자이기에 공사상을 밝히는 『금강경』에 대표 제자로 등장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인환 스님/전 동국대 교수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