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등 밝힌 칼미키야
러시아 칼미키야 자치공화국(Republic of Kalmykia)에서 불교가 활짝 피어나고 있다.
칼미키야는 15세기 몽골계 유목민족인 오이라트(Oirat)가 러시아 남서부 지역에 정착한 이후 19세기 초까자 유럽에서 유일하게 불교 전통을 이어온 나라. 그러나 구소련(특히 스탈린 정권) 시절, 정치적 이유로 칼미키야인들은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추방됐고 사찰은 허물어지고, 불교는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그런데 최근 칼미키야 자치공화국 곳곳에서 불교의 르네상스가 일어나고 있는 것. 특히 수도 엘리스타(Elista)에서는 사찰, 불상과 달라이 라마의 사진 등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을 정도. 엘리스타 어느 곳에서도 바라볼 수 있는 중심부에 앉아, 시민들의 마음에 선근을 심어주고 있는 ‘석가모니 부처님 사원(Temple of Buddha Shakyamuni)’은 유럽 지역에서 최대 규모의 티베트 사찰이다.
이 사찰은 티베트에서 온 화승(畵僧)들에 의해 장엄됐고, 앞으로도 칼미키야 자치공화국의 대표 불화 작가들과 티베트 화승들이 힘을 모아 추가 불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침마다 찾아오는 불자들로 사찰은 연일 만원을 이루고 있고, 최근 티베트의 고승 라마 게쉐 틴리(Lama Geshe Thinley) 스님 초청법회에서는 고승의 법문을 듣고자 수천명의 불자들이 운집했을 정도다.
‘석가모니 부처님 사원’의 주지 안자 겔롱(Anja Gelong) 스님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전 사찰은 150개에 달했고, 유목 생활을 하면서도 불상(佛像)을 휴대용 천막 ‘유르트’ 정중앙에 모셔두었다.”고 기억을 더듬고, “그러나 공산혁명 이후 사찰은 대부분 파괴됐는데, 소련이 붕괴되면서 칼미키야 전통문화 부활이 시작됐고, 1993년 일룸지노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정부 주도의 사찰 복구 및 신축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러시아 칼미키야 자치공화국 수반인 키르산 일륨지노프(Kirsan Ilyumzhinov) 대통령은 ‘칼미키야의 불교 르네상스’의 견인차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국내에는 ‘국제체스연맹 회장’으로 또 ‘이명박 대통령과의 친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현재 전국에 35개의 불교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며 “현재 자치공화국 전역에 67여개 사찰이 세워졌고, 앞으로 100여개를 건설할 예정.”이라고 전제한 안잔 겔롱 스님은 “영적인 고향 티베트에서 4023㎞ 떨어져 있는 엘리스타에서는 사찰의 지붕과 체스 대회를 알리는 현수막만이 넘실거린다.”며 “칼미키야의 불교세가 유럽 속으로 확대되어, 유럽인을 편안히 불교의 입구까지 안내할 수 있는 미래가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칼미키야 국민 중에는 정부 주도형 사찰 건축을 반대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사찰을 짓는 데 소요되는 8백만 달러(US)가 더욱 가난한 지역의 빈곤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

달라이 라마, “후계자로 어린 여성도 가능”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자신의 후계자로 어린 여성을 지명할 수 있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인도 일간 타임스 오브 인디아가 11월 24일 보도했다.
달라이 라마는 전날 망명 티베트인 특별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죽기 전에 후계자를 임명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뒤 “중국이 15대 달라이 라마를 임명하는 것을 어떻게든 막고 싶다.”며 “이를 위해 차기 달라이 라마로 어린 여성을 지목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달라이 라마가 여성을 후계자로 선정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달라이 라마는 작년 연말 일본 산케이(産經) 신문과 인터뷰에서 생전에 후계자를 선출할 수 있다고 밝혔고 이탈리아 방문 중 취재진에게 여성을 후계자로 세울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中, 불교 최고 경전 '대장경' 첫 출판
불교 최고 경전인 대장경이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처음으로 출판돼 시판에 들어갔다. 중국 신화통신은 21일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난징(南京) 서점가에 대장경이 진열돼 일반인들에게 팔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장경은 석가의 설법을 기록한 경장과 교단의 계율 및 그것을 해설한 율장, 주석문헌인 논장을 집대성한 불교 경전이다. 중국에서는 청조 옹정(雍正)과 건륭(雍正) 황제 시대에 각인한 '건륭대장경'을 비롯해 모두 10여종의 대장경이 전해지고 있다.
이번에 발행한 대장경은 1909년 미국 상인과 중국의 저명 고승 및 학자들이 발간한 '핀가징서자오(頻伽精舍校)대장경' 판본에 의거한 것이다. 핀가징서자오대장경은 중국 근대 출판물 최초의 활자본으로 기존 대장경 가운데 가장 최신판이며 모두 8천416권으로 규모도 가장 방대하다.

편집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