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마시는 일은 참으로 즐겁기도 하거니와 바쁘거나 또는 지루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유일한 탈출구이며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에게서의 ‘차 생활’이란 이미 하루도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처럼 된 것 같다. 뿐만 아니라 나와 더불어 차를 마시는 여러 지인들의 생활 속에서도 어느덧 깊이 뿌리를 내리어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기호품 내지는 취미생활로 정착한 모습을 자주 보곤 한다.

이렇듯 차를 즐겨 마시는 이나 혹은 음차생활에 심취한 나머지 아예 차학(茶學)의 연구에 몰두하는 이들, 더 나아가 정식으로 대학에서 다도를 전공하는 이들에 이르기까지, 늘 찻상을 마주하고 있노라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 한구석에는 어느새 찻잔 속에 피어나는 수연(水煙)처럼 알 듯 모를 듯 묘한 화두처럼 우리의 뇌리 속을 맴도는 문구가 하나씩 있기 마련이다. 20여년의 음차생활은 각박한 현대 생활 속에서 피어나는 숱한 번민으로부터 나를 편안하고 즐겁게도 해주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나를 끊임없는 정신세계로 향하도록 매섭게 채찍질하는 화두가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다선일미(茶禪一味)’란 문구였다.
비록 불가(佛家)에서 비롯된 화두이긴 하나 필자 개인적인 견해로 볼 때, 기본적인 음차생활에서부터 다도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인이라면 한번쯤은 반드시 짚어보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기고 있다. 많은 다인들이 ‘차 모임’을 갖거나 ‘차 문화행사’를 하거나 혹은? 다도에 관한 연구 토론을 할 때면 심심찮게 자주 거론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가의 다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일반 다실에 ‘다선일미’라고 쓴 편액이나 족자가 걸려 있는 것을 아주 많이 보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 의미를 알고 걸어 놓거나 또 그 실체를 진정으로 깨닫고 걸어놓은 이들은 오히려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그 심오한 의미를 이해했거나 깨닫거나 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 심오한 뜻이나 깨달음은 각자의 개인적인 근기(根器)에 따라 맡기도록 하고, 이번 호에서는 경산사의 경산차를 소개하기에 앞서 먼저 ‘다선일미’의 연원(淵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볼까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일반적인 상식 속에서 자주 거론되는 ‘다선일미’는 대저 그 뿌리를 ‘일본다도’에서 자주 찾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마치 ‘일본다도’의 전유물인 것처럼 고정 관념화되어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차학(茶學)과 다도생활에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종사하고 활동하는 이들은 이러한 범주에서 제외되지만 말이다. 어쨌든 일반인들의 ‘다선일미’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일본이 동양 삼국(한·중·일) 중에서 ‘다선일미’란 문구를 가장 널리 선양하고, 또 즐겨 사용한 나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 다인들 사이에조차도 ‘다선일미’의 정신은 그 기원을 중국 송(宋)나라 때 경산사 주지로 있던 원오극근(圓悟克勤) 스님으로 보지만, 그러나 사실 그 기원은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가 당나라 때로 볼 수 있다.
중국 최고의 명차 용정차의 고장인 항주는 ‘중국의 차도(茶都)’로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으나, ‘다선일미’의 본 고장인 여항(余杭)이 항주와 이웃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다선일미’의 정신을 일본에 직접적 영향을 준 발원지는 중국 절강성 항주시 여항(余杭)의 경산사(徑山寺)이다. 경산사의 ‘다선일미’정신은 당나라 때의 고승이자 협산(夾山) 협산(夾山): 현재, 호남성(湖南省) 상덕시(常德市) 석문현(石文縣)에 위치
의 개산 종조(開山宗祖)이며 협산사(夾山寺)의 주지로 있던 선회선사(善會禪師)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회선사로부터 계속 이어져 내려오던 ‘다선일미’의 정신은 송(宋)나라 때에 이르자 협산사에서 선회선사의 ‘다선일미’의 법통을 이어 받은 원오극근(圓悟克勤) 스님에 의해 더욱 크게 일어나게 된다.
원오극근 선사는 20여 년간 협산사 주지로 있으면서 ‘차(茶)와 선(禪)의 관계’에만 몰두하여 마침내 ‘다선일미’의 참뜻을 깨닫고는 그 자리에서 일필휘지하여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네 글자를 썼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선풍(禪風)은 크게 일어나게 되었다. 이 때 원오선사의 문하에 크게 촉망받는 제자가 두 명 있었는데 바로 대혜종고(大慧宗?·1089~1163) 선사와 호구소륭(虎丘紹隆·1077~1136) 선사였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어려서 출가하여 협산사에서 원오선사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