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세, 참회와 정토 중시 선자 병 치유하려

당시의 불교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결사운동은 조계종에서 뿐만 아니라 천태종에서도 있었다. 원묘국사 요세(圓妙國師 了世, 1163〜1245)가 중심이 된 백련사(白蓮社) 결사(結社)가 그것이었다. 요세는 천태교관을 수학하고 23세 되던 1185년(明宗 15년)에는 승선(僧選)에도 합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1198년(神宗 元年) 봄에, 개경에 있는 천태종 사찰인 고봉사(高峯寺)의 법회에 참석하였다가 그 분위기에 크게 실망하고 동지 10여 명과 함께 명산을 유력하던 중에, 지눌의 권유에 의해 팔공산 거조사에서 함께 수선(修禪)하며, 지눌이 결사운동을 송광산으로 옮겨갈 때에도 동행하였다. 그러나 그는 선의 수행방법과 그 수행대상에 문제가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그는 참회(懺悔)와 정토(淨土)에 대한 중시를 통해 선자(禪者)들의 병을 치유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그의 태도는 당시 선사들의 힐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백련결사문’ 신앙결사 이론적 측면 완성

그러다가 그는 마침내 영암의 월출산 약사암(藥師庵)에 거주하던 1208년(熙宗 4년)에 요세는 홀연히, “만약에 천태묘해(天台妙解)를 발양(發揚)하지 못하면 영명연수(永明延壽)의 120 병(病)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겠느냐”는 생각을 하며 선으로부터 천태교관으로의 사상적 전환을 하고 지눌과는 다른 길을 가게 된다. 이후 그는 약사암에서 만덕산으로 주거를 옮겨 80여 간의 사찰을 세우고 1216년 백련사 결사를 조직하게 된다. 1232년(高宗 19년)에 백련사는 보현도량을 개설한 것을 계기로 체제를 재정비하고, 마침내 1236년 제자 천척이 《백련결사문》을 발표함으로써 명실공히 신앙결사 운동의 이론적 측면을 완성하게 되며, 지눌의 《정혜결사문》과 짝을 이루게 된다. 이후 백련사는 요세에 이어 8 국사(國師)를 배출하면서 크게 번성하였다.

참선할 수 없는 하근기 중생 위하여

그렇다면 무엇이 요세로 하여금 지눌과는 다른 길을 가게 만들었을까? 주지하다시피 지눌은 ‘돈오’와 ‘정혜’를 말한다. 그러나 요세가 보기에 이 사유체계는 너무 어려워서 적어도 지식대중이상이 되어야 접근이 가능하다. 그 결과, 요세는 ‘참회’와 ‘정토’를 주장한다. 요세가 참회와 정토를 주장하게 되는 이면에는 그의 문제의식이 깔려있다. 다시 말해서 요세는, 최소한의 지해(知解)의 힘마저도 없고, 근기마저 너무 열등하여, 도저히 참선을 할 수 없는, 힘없고 나약한 하근기의 범부중생을 제도하고 싶은 것이다. 자력으로는 도저히 해탈할 길이 없는 가련한 중생들에 대한 그의 끝없는 연민이 바로 백련결사의 숨은 동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세가 백련결사에서 법화교관을 바탕으로 하여 참회행과 미타정토신앙을 실천방향으로 제시한 것은, 한편으로는 당시 불교계에 대한 자각과 반성을 촉구한 것이지만, 더 나아가서 다른 한편으로는 대다수의 농민·천민층에게 불교 신앙의 활로를 터주고자 하는 보살행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눌과 요세의 결사는 종지나 수행방법에서 조금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더라도, 모두 당시 불교계의 모순에 대한 비판과 자각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결사의 주도세력이 종래처럼 왕족이나 귀족이 아니라 지방의 향리층·독서층 출신이었으며, 그에 따라 불교의 중심지가 지방사회로 확산되고 있었으며 본질적으로 일반 지식층과 대중을 상대로 한 새로운 불교혁신운동이라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한 사실의 하나로 여겨진다.

이 덕진/창원전문대학교수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