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은 2009년 2월 12일부터 2013년 3월 21일까지 국정원장으로 재직했다.

원세훈은 정무직 회의 등에서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거나 국정원을 비난하는 사람을 거론하며 최종흡 등 3차장에게 그들의 불법이나 비리가 있는지를 찾도록 지시했다.

이에 국정원 방첩국장은 3차장으로부터 전달받은 대상자에 대해 특명팀 내사파트에 국정원이 보유한 내부정보를 토대로 인물카드를 작성케 하고 필요에 따라 비행 감시, 인터넷 검색 등 자료수집을 지시하거나 사이터파트에 대상자에 대한 PC 이메일 해킹 등을 지시했다.

이 때 얻은 자료를 분석 정리하게 한 다음 그 결과보고서를 3차장을 거쳐 원세훈에게 보고했다. 작성된 보고서는 보고 종료 즉시 삭제했다. 필요한 미행감시 인력 차량 및 예산은 방첩국의 직무범위에 속하는 정상적인 사업명으로 가장하여 신청하도록 하는 등 정치인 등에 대한 사찰 흔적을 철저히 제거했다.

원세훈은 2010년 7월부터 전부서장회의 등에서 “종북좌파 세력인 명진을 봉은사 주지에서 아웃시켜야 한다. 어떻게 범민련 고문을 하던 종북좌파가 서울 한복판에서 수많은 신도를 모아놓고 요설을 설파하도록 두느냐. 이런 사람을 아웃시키지 못하면 모두 직무유기이다”라고 언급하며 명진 스님에 대한 비위나 불법사항을 찾도록 여처 차례 지시했다.

3차장은 당시 국·단장 회의에서 방첩국장에게 같은 취지로 지시했다.

▲ 3단계 내사계획이 담긴 국정원의 명진 스님 사찰 문건 중 일부이다.

방첩국장은 특명팀 내사파트장에게 명진 스님에 대해 세밀하게 알아보라는 지시를 했다. 내사파트장은 2010년 7월 13일께 ‘종북좌파세력 연계 불법활동 혐의 명진승(僧) 내사 계획’이라는 문건을 작성했다.

이 문건에는 ‘봉은사 주지 명진은 사찰 연간 지출액 100억 원 상당 중 실제 지출하지 않은 절반 가량의 돈을 종북좌파 지원 등 불법 용도로 사용한다’는 첩보가 담겼다.

혐의점을 규명하기 위해 3단계 내사계획을 수립하게 해 3차장, 원세훈에게 보도했다. 1단계로 상세 신원 확인 및 기초자료를 입수 분석하고, 2단계로 대상자 주변인물 협조사 포섭 및 집중 미행감사를 실시하여, 3단계로 대상자 이메일을 확보하여 과학방첩활동을 병행하고 불법활동 범증을 확보하여 의법처라하겠다는 취지의 단계별 내사계획이다.

그는 3차장의 지시에 따라 특명팀 사이터파트의 팀장 등에게 명진 스님에 대한 사이버 개척 및 감시를 지시했다. 사이버파트 팀원은 2011년 4월 11일께부터 5월 12일께까지 사이버 검색 결과나 명진 스님의 비서역인 봉은사 예경계장에 대한 감시를 통해 명진 스님의 동향을 파악 정리해 ‘외세연계 국익저해 대상사 사이버감시 상황’ 보고서를 작성하게 한 다음 3차장을 거쳐 원세훈에게 보고했다.

방첩국장은 명진 스님 외에도 배우 문성근, 홍성은 씨도 사찰했다.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유쾌한 100만 민란 프로젝트’를 주도했다”며 사이버파트에서 문성근 대표의 이메일을 통해 문성근 또는 대표 이메일을 관리하는 직원의 PC를 해킹해 취득한 ‘국민의 명령’ 내부자료 문건들을 건네받아 분석한뒤 이종명, 원세훈 에게 보고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차님 홍업씨의 측근인 홍성은 씨에 대한 미행 감시. 통화내역 분석, 사이버 해킹 등을 실시했다.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제보 dasan2580@gmail.com]

※ 업무 제휴에 따라 <불교닷컴>이 제공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