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아침|2만 2000원

초의차의 완성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인물들과 초의스님이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해설한 책이다. 편지에는 초의스님과 교유한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를 비롯하여 대흥사와 관련이 있는 승려들을 비롯하여, 해남, 전주, 남평 등지의 아전 및 지방관속의 소소한 일상사가 드러난다.

책에는 초의에게 온 95통 중 초의의 폭넓은 교류사뿐 아니라 조선후기의 시대상을 더욱 면밀하게 볼 수 있는 편지들에 집중했다. 불갑사 도영, 안국암 우활, 도선암 성활 등 승려가 보낸 편지에는 1840년경 초의와 표충사 원장직과 관련한 분쟁의 여진을 담고 있어 승직과 관련하여 대흥사 초의와 불갑사 도영, 안국암 우활, 도선암 성활이 대립적인 입장이었음도 드러난다. 특히 이 자료는 조선후기 승직과 관련하여, 승과가 실제 복원되지는 않았지만 묵시적으로 승직이 수행되었다는 방증이다.

이런 면에서 그들이 초의선사에게 보낸 편지나 시문은 초의 연구에 필수적인 기초 자료일 뿐 아니라 그와 교유했던 편지와 시문 또한 풍속, 사회, 정치, 종교, 문학, 차문화는 물론 인물사를 조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책을 펴낸 박동춘 씨는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으로써 조선 후기 초의선사에 의해 정립된 우리 전통 차의 적통인 ‘초의차’의 이론과 제다법을 이어받았다. 한편 사단법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를 설립해 초의선사뿐 아니라 한국 차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일을 병행하면서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초의차’를 계승하는 ‘동춘차’를 만들며 한국 다도의 맥을 보존·전수하고 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