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조선 민중이 일제의 강압적인 식민통치에 맞서 민족의 독립과 자주를 선언한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3·1운동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분이 재단법인 선학원의 설립조사인 만해 한용운 스님이다. 스님은 3·1운동을 주도하였을 뿐 아니라 독립선언서의 행동강령이라 할 공약삼장을 직접 추가해 넣었다.

선학원의 설립은 간악한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민족불교의 전통을 지켜내려는 노력의 산물이지만, 한편으로는 3·1운동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3·1운동으로 수감된 만해 스님이 풀려나게 되자 스님을 중심으로 친일을 일삼던 사판계에 맞서고자 이판계의 수도원으로 설립된 것이 선학원이다.

출옥한 만해 스님은 선학원에 머물면서 선리참구와 항일운동, 불교활동, 계몽활동, 문학활동을 치열하게 전개했고, 선학원의 설립조사들은 만해 스님을 중심으로 일제의 간악한 식민지정책에 맞서 한국선불교의 전통을 지켜냈다.

최근 일부 단체가 선학원 설립조사인 만해 스님의 위상을 깎아내리고 있다. 만해 스님 선양사업이 선학원의 역사를 왜곡하는 것이라거나, 만해 스님을 ‘선학원에 얹혀살던 식객’이라고 폄훼하는 것 등이다.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선학원의 역사와 설립 정신을 왜곡해 이해한 데서 벌어진 일이다.

“풍란화 매운 향기 님에게 견줄쏜가 / 이날에 님 계시면 별도 아니 더 빛날까 / 불토가 이외 없으니 혼아 돌아오소서.”

위당 정인보가 만해 스님을 추모하며 지은 시조이다. 일제의 간악한 탄압에도 타협하지 않고 당당히 정진해간 만해 스님은 선학원의 자랑이자 우리 민족의 사표(師表)이다. 스님의 생애와 사상, 수행을 잇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재단법인 선학원 구성원의 도리이자 책임이다.

법진 스님 | 본지 발행인·재단법인 선학원 이사장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