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제금동불상. 한겨례신문이 첫 보도한 사진

일본에서 소재가 확인된 백제금동관음보살입상을 환수하려던 정부가 일본인 소장자의 요구 금액이 150억원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주도한 환수 협상에 대한 국정감사 질의에서 문화재청은 이를 확인하며 구매가격으로 42억원을 자문받아 잠정 책정해 차이가 현격하게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염동렬 자유한국당 의원은 16일 열린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일본 소장자가 요구한 금액(150억원)과 정부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책정한 구매가격(42억)의 차이가 크다는 점에 대해 문화재청의 국외 반출 문화재 매입예산을 더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정재숙 청장은 “소유자가 값을 너무 높게 올렸다. 전문가들에게 자문한 결과, 상한가 42억원 이상 주고 사는 것은 무리라는 결론을 얻었다"면서 "(불상이) 경매에 나왔으면 한다. 가치가 있어서 사려는 유물은 예산을 넘어서는 것이 많고, 그렇다고 가치가 없는 것을 액수에 맞춰서 사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은 “일본이 백제관음상을 국보로 지정하면 환수 자체가 물건너 간다. 내년 부처님오신날까지는 풀어야한다”고 질의했고,  정 문화재청장은 불상이 경매 시장에 나올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환수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지금까지 중개인을 통해 소장자와 접촉했는데, 앞으로는 소장자를 직접 확인해 접촉하려 한다"고 말했다.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된 삼국시대 최고 불상으로 꼽히는 백제금동관음상은 1907년 충남 부여 규암리 출토 이후 1920년대 일본인이 매입 반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국내 미술사학자들이 90여년 만에 일본에서 불상의 실체를 확인했고, 이를 지난 6월 <한겨레>가 보도하면서 문화재청·국립중앙박물관이 실물 조사로 진품을 확인한 뒤 소장자 쪽과 환수협상을 진행해 왔다.

일본의 소장자 측은 지난달 협상 부진을 명분으로 협상불가를 문화재청에 통보했고, 홍콩 등지에 국제 매각을 추진중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언론 보도로 소재가 확인된 해외 문화재들이 의도적으로 환수거래 액수를 높이기 위해 거래자들이 특정 언론에 정보를 주고 특종 보도하는 사례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평화신문 문화 담당 기자에서 문화재청장이 된 정 청장은 국감 답변에서 '남쪽' 용어를 쓰다 의원이 '우리나라'라고 지적. 발언을 수정해 자질 논란이 불거졌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