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월 26일부터 9월 28일까지 8개월에 걸쳐, 총 열여덟 분의 선학원 설립조사 및 이사장 스님들의 행적을 중심으로 열전을 게재하였다. 현존해 계신 14대 이사장 법원 진제(法源 眞際, 1930~ )은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만해 한용운(1979-1944)스님을 필두로 남전 한규(1868-1936), 도봉 본연(1873-1949), 석두 보택(1882-1954), 성월 일전(1866-1943), 만공 월면(1871-1946), 용성 진종(1864-1940), 초부 적음(1900-1961), 경봉 정석(1892-1982), 석주 정일(1909-2004), 청담 순호(1902-1971), 대의 동원(1901-1978), 노노당 대휘(1907-1992), 향곡 혜림(1912-1978), 동일 벽암(1924-2005), 효일 범행(1921-2012), 남산 정일(1932-2004), 성파 도형(1936-2013)스님의 순으로 열전을 실어왔다.

이제 조사 스님들의 오도송과 열반송을 중심으로 조사 스님들의 정신을 되새겨 보며, 그간의 열전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지면 관계상 모든 스님들의 게송을 다룰 수는 없어 몇 분의 게송만을 싣게 되어 못내 아쉬운 감이 있다. 이후 단행본으로 모든 스님들의 게송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면 의미 있는 작업이 되리라 생각된다.

용성 진종(1864-1940) 스님은 23세 되던 해 신라불교 초전법륜지인 선산 모례정 근처에서 용맹결사 정진 끝에 깨달음을 성취하고 낙동강을 건너면 오도송을 읊었다.
금오천추월(金烏千秋月) 금오산 천년의 달이요
낙동만리파(洛東萬里波) 낙동강 만리의 파도로다
어주하처거(漁舟何處去) 고기잡이 배는 어느 곳으로 가는가
의구숙로화(依舊宿蘆花) 옛적 같이 갈대꽃에서 자도다.

만해 한용운(1879-1944) 스님은 1917년(39세) 2월 3일 밤 10시경, 강원도 설악산 오세암에서 궁극적 실재와의 조우라 할 수 있는 극적인 ‘오도(悟道)’를 경험한다. 한 겨울 밤 좌선하던 와중 바람에 무엇인가 떨어지는 소리에 깨닫게 된다. 오도(悟道)는 이후 보살정진에 의한 만해 스님의 실천적 행동을 더욱 공고하게 한다.

남아도처시고향(男兒到處是故鄕) 사나이 이르는 곳마다 바로 고향인 것을
기인장재객수중(幾人長在客愁中) 몇 사람이나 나그네 시름 중에 오래도록 머물렀든가
일성갈파삼천계(一聲喝破三千界) 한 소리 삼천세계를 갈파하니
설리도화편현홍(雪裏桃花片片飛) 눈 속에 복사꽃 점점이 날리는구나.

만공 월면(1871-1946)의 오도송은 아래와 같다.

공산이기고금외(空山理氣古今外) 빈산의 이치와 기운은 고금 밖에 있네
백운청풍자거래(白雲淸風自去來) 흰구름 맑은 바람은 스스로 오고 가누나
하사달마월서천(何事達摩越西天) 무슨 일로 달마는 서천을 건너 왔는가
계명축시인일출(鷄鳴丑時寅日出) 축시에는 닭이 울고, 인시에는 해가 뜨네.


경봉 정석(1892-1982) 스님은 1927년 12월 13일(음:11월20일) 새벽에 방안의 촛불이 출렁이는 것을 보고 크게 깨달았다. 그날 새벽 두시 반 경 바람도 없는 데 촛불이 흔들리는 소리를 내며 춤추는 것을 보는 순간 의문 덩어리가 일순간에 녹아내린 것이다. 뜨겁게 타오르던 불길 같은 마음이 식어버리자 이렇게 게송을 읊었다.

아시방오물물두(我是訪吾物物頭) 내가 나를 온갖 것에서 찾았는데,
목전즉견주인루(目前卽見主人樓) 눈앞에 바로 주인공이 나타났네.
가가봉착무의혹(呵呵逢着無疑惑) 허허, 이제 만나 의혹 없으니,
우발화광법계류(優鉢花光法界流) 우담발화 꽃빛이 온 누리에 흐르는구나.

청담 순호(1902~1971)스님의 오도송은 아래와 같다.

상래불조둔치한(上來佛祖鈍痴漢) 예로부터 부처와 조사는 어리석고 미련하기 그지없어서
안득요지자변사(安得了知玆邊事) 어찌 이쪽 일을 제대로 깨우쳤겠는가?
약인문아향소능(若人聞我向所能) 만약 누가 나에게 한 소식 한 바를 묻는다면
노방고탑경서방(路傍古塔傾西方) 길가에 고탑이 서쪽으로 기울어졌다고 하겠네.

향곡 혜림(1912-1978)스님은 열반 3일전 다음과 같은 임종게를 남기셨다.

목인영상취옥적(木人嶺上吹玉笛) 목인은 잿마루에서 옥피리를 불고
석녀계변역작무(石女溪邊亦作舞) 석녀는 시냇가에서 춤을 추네
위음나반진일보(威音那畔進一步) 위음왕불 이전으로 한 걸음 나아가니
역겁불매상수용(歷劫不昧常受用) 역겁에 불매하고 언제나 수용하리.

동일 벽암(1924-2005) 스님은 원적에 들기 전 제자들이 오도송(悟道頌)을 묻자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불조심전허가명(佛祖心傳虛枷名) 부처와 조사가 마음을 전하나 허깨비 이름이며
중생제도회유사(衆生濟度懷柔事) 중생을 제도하니, 어린아이 달래는 소리로다.
허가회유시십마(虛枷懷柔是什麼) 허까비도, 달래는 소리도 그만 두고 일러라 무슨 도리인가?
무시무종다반사(無始無終茶飯事) 시작도 끝도 없는 차 마시고 밥 뜨는 일이로다.

효일 범행(1921-2012)의 오도송은 단순 간결하다

청풍명월 청산유수(淸風明月 靑山流水)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선을 받들어 행하여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남산 정일(1932-2004)스님은 아래와 같은 오도송을 남기셨다.

극빈자희환대로적로위총(極貧者喜歡帶露的蘆葦叢) 극빈자는 이슬 맺힌 갈대숲이 좋다
혼연간일루시광투과정개대지(渾然間一縷始光透過整個大地) 홀연 한 가닥 시광이 온 대지를
투과하니
만년전사불이열반(萬年前事佛已涅槃) 만년 전사 부처님 열반이 드러났네
노우하착로우하착(霧雨下着霧雨下着) 안개비가 내리는구나, 안개비가 내리는구나
최후여고별시적상통(最後如告別時的傷痛) 마지막 이별을 고하는 슬픔과 같이
대전인미답치지괘연호(對前人未踏之地掛念呼) 전인 미답지가 궁금하냐?
지정정지범착수파적소계거류일파검파(到靜靜地泛着水波的小溪去洗一把瞼吧)
잔물결 이는 개울로 가서 세수나 하여라.


성파 도형(1936-2013) 스님의 임종게는 다음과 같다.

아유일권경(我有一券經) 나에게 한 권의 경이 있으니
불인지묵성(不因紙墨成) 종이와 먹으로 된 것은 아닐세.
전개무일자(展開無一字) 펼쳐도 한 글자 없으나
상방대광명(常放大光明) 항상 대광명을 발하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