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보에 귀의하지 않는 惡果

453. 선남자야, 어떤 사람이 법보를 없애면 귀신이 마음에 들어가 복되고 영화로운 삶(福祿)을 잃어버리고(損却), 봉사, 귀머거리, 벙어리, 어리석음의 과보를 받으며, 항상 축생에 떨어져서 타조, 당나귀, 돼지, 개가 되느니라. <대교왕경(大敎王經)>

454. 어리석고 미련해서 법을 믿지 않고, 제멋대로 버릇이 없어서 두려워하는 것이 없으면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고통(百苦)이 몸을 얽어매서 번번이 재앙을 만나게 된다.
<범천신책경(梵天神策經)>




제4절 승보(僧寶)에 귀의

승보(僧寶)의 가피

455. 자씨보살(慈氏菩薩)1)이 “무엇을 일러 진실한 승단이라 할 수 있습니까?”하고 여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승보(僧寶)2)는 세 종류가 있다. 첫째는 제일의승(第一義僧)3)이다. 소위 모든 부처님의 성스러운 승단(諸佛聖僧)4)이 법과 같이 머물러 가히 볼 수 없으며, 잡을 수 없으며, 파괴하지 못하며 능히 불살라 해하지 못하며, 생각할 수 없으며(思議)5), 일체 중생의 양우(良祐)6), 복전(福田)7)을 짓지만 얻는 바가 없으며, 모든 공덕법8)이 항상 변함이 없어, 이를 일러 제일의승(第一義僧)이라 한다. 둘째는 성승(聖僧)9)이다. 수다원과(須陀洹果)10), 사다함과(斯陀含果)11), 아나함과(阿那含果)12), 아라한과(阿羅漢果)13), 벽지불과(&#36767;支佛果)14), 팔대인각(八大人覺)15), 삼현(三賢)16), 십성(十聖)17)을 일러 성승(聖僧)이라 한다. 셋째는 복전승(福田僧)18)이니, 소위 필추(苾芻)19), 필추니(苾芻尼)20) 등이 금계(禁戒)21)를 수지하고 다문지혜(多聞智慧)하여 천의수(天意樹)22)가 능히 중생을 가림과 같으며, 광야의 자갈밭 가운데 갈증이나 물을 구하다가 감로가 장마처럼 쏟아져 때마침 갈증이 해갈됨과 같으며, 큰 바다에서 온갖 중보(衆寶)가 모두 나옴과 같다. 복전승보도 이와 같아 능히 유정에게 안온쾌락을 준다. 또 이 승보가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아 능히 중생의 탐(貪), 진(瞋), 치(癡), 암(暗)23)을 멸하여 보름달빛과 같아 일체유정이 바라보지 않음이 없으며, 마니보주(摩尼寶珠)가 능히 일체유정의 모든 선한 원을 만족시켜 주는 것과 같다. 이를 일러 세 번째 승보라 이른다. 이 세 가지 승보에 일체 유정이 어떻게 귀의하는가? 마땅히 제일의제(第一義諦)24)의 무위승보(無爲僧寶)에 귀의할 것이다. 어떤 이유인가? 무위상주승인 까닭에 이 승보가 무루(無漏)25), 무위(無爲)26)하며, 불변(不變), 불이(不異)27)한 스스로 깨달은 법이다. 이러한 무루승보에 귀의하면 능히 유정(有情)28)의 온갖 고통을 없앨 수 있는 까닭이다. 이 법을 얻고, 삼승법(三乘法)29)을 연설하여 유정을 제도하여 해탈(度脫)하게 하며, 삼악도(三惡道)30)의 고통을 두려워하지 않고, 인천(人天)31)에 태어나기를 원하지 않으며, 유정을 구제하기를 서원하여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면 이것을 승보에 귀의하는 것이라 이른다.”
【육바라밀경(六波羅蜜經)】



456. “선남자야! 세간, 출세간32)에 세 종류의 승단(三種僧)이 있으니, 첫째는 보살의 승단(菩薩僧)이고, 둘째는 성문33)의 승단(聲聞僧)이며, 셋째는 범부34)의 승단(凡夫僧)이다. 문수사리(文殊師利)35), 미륵(彌勒)36) 등은 보살승이다. 사리불(捨利弗)37), 목건련(目&#29325;連)38)은 성문승이다. 별해탈계(別解脫戒)39)를 성취한 진선범부(眞善凡夫)40)와 또 일체 정견(正見)41)을 구족하여 능히 남을 위하여 중성(衆聖)42)의 도법(道法)43)을 연설하여 중생을 이롭고, 즐겁게 하면 이를 범부승(凡夫僧)이라 이른다. 비록 무루(無漏)한 계(戒)44), 정(定)45), 혜(慧)46)의 해탈을 얻지 못하나 이것을 공양하는 자는 무량한 복을 얻는다. 이 같은 세 종류를 진정한 복전승보(福田僧寶)47)라 이른다.”

【심지관경(心地觀經)】




주석


1) 미륵보살을 이르는 말. ‘자(慈)’는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자로서, 이 세상에 부처님이 끊어지지 않게 하는 분이기 때문이다.
2) 수행자 단체(sangha)
3) 최고 진실한 교단(敎團)
4) 온갖 부처님들로 구성된 교단. 절대적 세계를 이른 것으로 부처님들이 일체(一體)가 되어 있는 상태
5) 상대적으로 생각함(ascarya)
6) 좋은 도움
7) 행복의 원인. 삼보(三寶)를 숭배하고, 공양하는 것이 복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므로 밭에 비유.
8) 공덕으로 나타나는 작용. 법은 마음의 작용.
9) 신성한 교단(sangha)
10) 예류과(預流果, srota apatti-phala): 성자(聖者)의 경지에 처음 드는 것으로 성문(聖聞)의 수행 단계인 사과(四果) 중 초과(初果).
11) 사다함과(斯陀含果, sakrdagami-phala): 다시 한 번만 이 세상에 태어나면 깨달을 수 있는 성과(成果) 또는 그 사람.
12) 아나함과(阿那含果, anagami-phala): 다시는 욕망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는 성과(聖果)
13) 아라한과(阿羅漢果, arhattva): 불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 삼계(三界)의 온갖 번뇌를 끊어 버린 자리.
14) 자기 혼자 깨닫고, 그것을 남에게 설하려 하지 않는 소극적인 성자의 단계.
15) 보살, 성문, 연각 등 역량이 큰 이들이 일으키는 여덟 가지 일. ①소욕각(少欲覺): 얻지 못한 오욕(五欲)을 널리 구하려 안하는 것 ②지족각: 이미 얻은 것으로 만족 ③원리각(遠離覺): 번뇌를 떠나 적정(寂靜)한 곳을 좋아함. ④정진각(精進覺): 선정의 수도에 정진하는 것 ⑤정념각(正念覺): 바른 도리만을 한결같이 염(念)하는 것 ⑥정정각(正定覺): 선정을 닦아 잡념을 떠나는 것. ⑦정혜각(正慧覺): 문(聞), 사(思), 수(修)를 닦아 참된 지혜가 생기는 것 ⑧불희론각(不戱論覺): 희론을 떠나 정어(正語)를 지니는 것
16) 보살의 위계에서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이른다.
17) 십지(十地)의 보살.
18) 사람들의 복전이 되는 교단.
19) bhikSu의 음사.
20) bhikSuNi의 음사.
21) 부처님이 정하신 계율(Sila)
22) 천상(天上)의 여의수(如意樹). 천(天)의 뜻을 따라 구하는 것을 얻게 하는 나무.
23) 어둠, 무명(無明)
24) 최고 완전한 진리.
25) 새어나오는 부정한 것이 없는 것, 더러움이 없는 것, 번뇌가 없는 것.
26) 생멸, 변화를 초월해서 절대, 진실한 것.
27) 다르지 않음(ananya)
28) 중생
29) 삼승법(三乘法, triNi yanani): 삼승(三乘)의 가르침. 성문, 연각, 보살의 가르침이 따로 설해진 것.
30) 지옥, 아귀, 축생.
31) 사람들과 신들 또는 천상계와 인간계
32) 세속을 떠나는 것.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33)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하는 사람. 불제자(佛弟子). 자기의 깨달음만을 구하는 수행승, 또는 성자.
34) 소승에서 초과(初果), 대승에서 초지(初地) 이상을 성자라 하는 데 대해 그 이하를 범부라 한다.
35) 문수보살(ManjuSri). 지혜가 뛰어난 대보살.
36) 미륵보살(Maitreya). 다음에 성불할 것이 석존에 의해 예언된 보살.
37) 사리불(Sariputra):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하나. 지혜 제일.
38) 목건련(Maudgalyayana):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하나. 신통 제일.
39) 제 각기의 해탈. pratimokSa의 의역. 음사하여 바라제목차(波羅提木&#25184;)라 한다. 계율(戒律)을 이른다. 불살생계(不殺生戒)를 지켜 살생의 악을 해탈하고, 불투도계(不偸盜戒)를 지켜 투도의 잘못을 해탈하는 것처럼, 하나하나의 계(戒)가 각 악을 제각기 해탈시키므로 별해탈, 별해탈계라 한다.
40) 범부란 초지(草地) 이하의 총칭인바, 그 중에서 불도를 잘 닦아 어지간한 경지에 도달한 사람을 이른다.
41) 바른 견해, 팔정도(八正道)의 하나.
42) ①소승의 초과(初果) 이상, 대승의 초지(初地) 이상의 성자(聖者)를 이른다. ② 많은 보살들.
43) 깨달음의 길.
44) 계(戒,Sila): 불교를 믿는 자가 지켜야 할 도덕적 규칙.
45) 정(定, dhyana): 선정. 마음을 한 곳으로 집중하는 종교적 명상.
46) 혜(慧, prajna): 예지. 진실한 도리에 도달하는 작용.
47) 사람들의 복전이 되는 교단.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