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식차지(植茶地) 몽산 그리고 공차(貢茶), 몽정차(蒙頂茶)

 

오랜 세월의 풍상 속에서도 빛바래지 않고 변함없이 다인들 사이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유명한 대련(對聯) 중에는 “揚子江中水, 蒙頂山上茶(양자강중수, 몽정산상차)”란 문구가 있다. 이는 천하제일천인 양자강 중령천(中굳泉:본지 2006년 4월호 게재)물과, 몽정산(蒙頂山)에서 나는 차가 최고임을 극찬하는 말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 서로 잘 어울리는 최고의 차와 샘물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몽정(蒙頂)은 몽산(蒙山)의 정상을 일컫는 말이다. 몽산은 현재 사천성 성도(成都) 평원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은 명산현(名山縣)과 아안현(雅安縣)에 걸쳐 있다. 몽산(蒙山)에는 기이한 봉우리와 고차수(古茶樹)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음은 물론 사찰 또한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몽산은 연 강우량이 많고, 사철 안개가 자욱하고 구름이 많은 기후적 특징 때문에 거의 일 년 내내 온 산이 비와 운무로 뿌옇게 덮여져 있다. 몽산(蒙山:덮여져 있는 산)이란 산 이름은 바로 이러한 기후적 특징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차를 심고 재배하기엔 더할 나위 없이 천연적인 환경조건을 구비하고 있어 가히 하늘이 내리신 땅이라 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곳이다. 차를 심고 재배하는 차농(茶農)이라면 누구나 이곳에 와서 감탄을 금치 못할 뿐만 아니라 이곳 어느 한쪽의 땅에서라도 차를 심고 재배하고 싶은 욕구를 억누르지 못할 것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고대 중국인들은 찻잎을 발견하고 약용(藥用)으로 쓸 줄 알기 시작하면서부터 야생차수를 대량으로 채취하였다. 그 당시 찻잎을 채취하는 방법은 ‘伐而?之(벌이철지, 『다경』)’ 즉, 도구(낫, 도끼, 톱 등)를 사용하여 야생차나무의 가지를 쳐서 땅 위에 떨어진 가지에 붙은 찻잎을 줍는 방식이었다. 이에 야생차나무는 점점 감소하고 반면 찻잎의 소비는 점점 증가함에 따라 차나무 또한 다른 기타의 농작물과 같이 사람의 손을 거치게 되는 인공재배가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이는 차업(茶業)의 발전을 촉진시키게 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몽산에서 차를 심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0여 년 전인 서한(西漢) 때부터였다. 중국 사천성 몽산 일대에 전해져 내려오는 민간 구전에 의하면 서한 감로(甘露:기원전53년~49년) 연간에 감로사(甘露寺) 승려 보혜선사(普慧禪師) 오리진(吳理眞)이 직접 일곱 그루의 차나무를 심었는데 그 품질이 특이하여 사람들은 이를 ‘선차(仙茶)’라 부르게 되었다. 몽산 정상에는 ‘차사박물관(茶史博物館)’ 건너편 산기슭에 정방형의 돌난간으로 둘러싸여 보호되어있는 10평 남짓의 비옥한 땅에 일곱 그루의 차나무가 심어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입구에 ‘황다원(皇茶園)’이란 제명이 새겨져 있다.
몽정차는 당나라 때부터 청나라 때에 이르기까지 약 1,000여년을 ‘공차(貢茶)’로 지정되어 매년 황실에 바쳐졌다. 이조(李肇)의 『당국사보(唐國史補)』에는 “검남(劍南:지금의 사천성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에는 몽정석화(蒙頂石花), 소방(小方), 산차(散茶)가 있는데 으뜸이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모두 몽산에서 나는 차를 일컫는 말이다. 매년 황제에게 바쳐지는 공차에는 정공(正貢)과 배공(陪貢) 두 종류가 있다.
황제나 황족이 음용에 바쳐지는 정공(正貢)하는 차는 바로 ‘황다원(皇茶園)’에서 재배된 일곱 그루의 선차(仙茶)이고, 조정대신이나 귀족들의 음용에 쓰이는 배공(陪貢)되는 차는 몽산 오봉(五峯)의 곳곳에서 나는 찻잎을 채취하여 제다한 것이다.
매년 공차(貢茶)를 제조할 때엔 몽산다원(蒙山茶園)에서는 개원(開園)의 예법과 의례가 엄중하고 성대하게 거행된다. 먼저 길일(吉日)을 선택하고 모든 이들이 목욕재개하며 찻잎을 따는 스님(採茶僧)과 차를 만드는 스님(製茶僧)의 역할 분업이 엄격히 구분된다.
이렇게 몽정차는 채다에서 제다에 이르기는 모든 공정에서부터 일반 차와는 현격한 차이와 그 품질에서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많은 문인(文人), 아사(雅士)들의 아낌없는 극찬과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당대의 시인 백거이는 그의 시에서 “차 중의 고향은 바로 몽산(蒙山)이로구나[茶中故舊是蒙山]”했고, 당대 여양왕(黎陽王)은 『몽산백운암다시(蒙山白雲巖茶詩)』중에서 “만약에 육우로 하여금 공론을 주최하게 한다면, 마땅히 (몽정차를) 인간제일차라 할 것”이라며 몽정차(蒙頂茶)에 대해 극찬을 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몽정차의 종류는 매우 많지만, 현재 제대로 회복된 정형적인 몽정차로는 주로 몽정석화(蒙頂石花)와 몽정감로(蒙頂甘露) 두 종류가 있다.
몽정석화는 납작하고 곧은 형태로 ‘불 쬐이기(홍배:烘焙)’와 덕음(초청:炒靑)과정을 거친 녹차(綠茶)이다. 청명(淸明)―우리나라의 우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