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1990년대 개방정책 이후 자본주의에 깊이 물들었다. 하지만 며칠 전 시진핑 (習近平) 주석은 향후 중국은 마르크스주의를 지향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공산주의는 이미 한물 간 이념이 아닌가. 그런데 유독 중국의 지도집단만은 앞으로 공산주의를 고수하겠다는 것이다.


그간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마르크스가 힘주어 강조한, 역사에서의 ‘필연적 법칙’이란 것이 실상 잘못된/거짓된 가설임을 밝혔다. 역사는 일정 법칙에 따라 혹은 변증법적으로 진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실감했다. 진화이기는커녕 역사는 오히려 ‘어리석음’을 반복할 뿐이라는 인상만을 주고 있다. 인간의 에고(ego)나 탐욕은 시대가 변해도 변함없이 무진장하게 펼쳐지는 세상이 됐으니.

솔직히 말해, 과거 공산정권의 ‘계급투쟁’은 말이 계급투쟁이지, 실은 인민들에 대한 기만 · 선동 · 강탈 · 이간 · 통제 등 온갖 사악한 방편들을 총동원한, 강압적 지배의 다른 말일 뿐이다. 이 시대 주요 화두는 자원의 고갈 · 각종 공해의 범람 ·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이나 물 부족 등일 테고, 지구 곳곳에선 아직도 전쟁과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계급투쟁보단 인권 · 민주화 · 양심 · 자유의 문제가 더욱 소중해진 시대다. 헌데 중국은 어찌하여 장차에도 낡은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하겠다는 것인가.

과거 중국의 찬란한 문화적 전통과 가치를 훼멸시킨 공산집단이었다. 공산주의라는 미명하에 국가지배를 독점한 집단은 노장(老莊)사상까지 물질주의 사관으로 오독을 시키고 있다. 전통 정신문화는 일당 독재가 주조해놓은 사상을 위협할 수 있어서다. 뿐인가. 팽창 야욕을 충족시키려, 중국은 우리의 고대 동북아 역사마저 왜곡시키고 변질시키고 있다. 이번 사드 사건에서 보듯, 선린 관계는 지배-복속의 맥락에서만 찾는 듯하고, 이웃 국가에 대한 진정한 배려 따위는 찾아보기 어렵다. 중국에 대해 대국으로서의 풍모를 전혀 느낄 수가 없다.

말할 것도 없이 마르크스주의 신봉자들에겐 ‘폭력’이 정권을 탈취하는 수단이자 또 가장 주요한 무기였다. 현대의 중국은 실제 티베트나 몽고, 신장 지역을 뺏을 때도 그곳 인민을 해방시킨다는 미명하에 폭력을 동원했다. 중국은 캄보디아 크메르루즈를 전력으로 지원해줬던 전과도 있다. (그 당시 그들은 크메르 전 인구의 4분의 1을 학살했다.) 세계적으로 가장 잔혹한 무장단체나 정권들은 중국 공산당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악랄한 정권인 북한은 말할 것도 없고, 인도네시아, 필리핀, 통일 이전의 월남, 미얀마, 라오스, 네팔의 공산당도 그들 휘하, 영향권에 있다.

조사보고에 따르면 1949년 이후 중국에서 모택동의 폭정으로 살해된 중국인이 무려 7천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그럼에도 중국인민들 거개는 모택동을 여전히 우상시하고 있다. 옛 중국을 통일시킨 진시황을 동경해서인가. 허황된 중화민족주의에의 도취 또한 하나의 계략에서 나온 것이리라.

이제 공산당이 ‘진보적’이라는 말은, 거짓임이 빤히 드러난 세상이다. 계급투쟁이야말로 사회발전과 진보의 유일한 원동력이라는 말 또한 참이 아닌 것이다. 문제는 우리가 중국의 실상을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느냐에 있다. 아직도 우리 사회 일부에서는 모택동을 숭배하거나 ‘유사제품’인 김일성주의에 대한 견혹(見惑)을 끊지 못하고, ‘낭만적 민족주의’에 허접하게 취해 있는 사람들이 적잖다. 한 민족이라는 혹은 민족주의라는 미명하에 다른 모든 가치를 희생시켜도 무방하다는, 그런 완고한 폐쇄주의자들이야말로 진짜 꼴통들이다.

6.4 천안문 사태 이후에도 인권 말살 정책이 여전한 중국이다. 평화나 안전을 위해서라는 명분하에 진행된 투쟁운동은 실상 테러요, 인민들을 내심으로부터 공포에 떨며 굴복하도록 한 정책이다. 지금도 이런 방책들은 은밀히 왕성하다. 중국은 언론과 매스컴의 자유를 박탈하고 인민의 정신적 자유와 의지를 박탈하고 있다. 중국에선 사실 종교 활동이 ‘정상적이 아닌’ 행태로 운용되고 있다. 공산당 감시 하에 관 주도로, ‘허례허식’의 종교만이 전시되고 있을 뿐이다. 장쩌민(江澤民)의 지시 이후 파룬궁 박해로 수십만 명이 살해, 고문 등을 당했다는 것은 전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어느 덧 규모가 커진 중국경제다. 이 때문에 어느 나라도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중국의 인권에 대해 노골적인 성토를 못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를 히든카드로 활용하여, 중국 공산당에 인권이나 언론 등의 방면에서 입을 다무는 쪽에, 경제적 혜택을 준다는 계략도 쓰고 있다. 중국의 지배 권력층은 내심 민주 · 인권 · 양심 · 자유를 무척이나 두려워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헌데 우리나라엔 반미는 정의로운 일인 양 꾸미고, 옛적‘모화(慕華)사상’에 젖어있는 것으로 보이는 인간들이 적지 않다. 부디 <중국몽>에서 깨어나길 바란다.

-시인 · 블레스병원장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