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당조(唐朝)의 명차

앞에서도 여러 차례 거론한 바 있지만, 중국의 공차(貢茶) 기록은 이미 오래 전 주(周) 왕조에서부터 보인다. 그러나 정식으로 공차를 시행한 것은 당(唐) 왕조에서부터였기 때문에 육우(陸羽)의 《다경(茶經)》을 비롯한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는 ‘중국 명차의 출현’을 당조를 시점으로 하여 소개하고 있다.

당대(唐代) 이조(李肇)가 쓴《국사보(國史補)》의 기록에 의하면, 당대는 차를 귀하게 여기는 풍조가 만연하여 명품 차들이 많았다. 그 기록을 살펴보면, “검남(劍南)에는 ‘몽정석화(蒙頂石花)’가 있어 소방(小方), 혹은 산아(散芽)라고 부르는데 최고의 차로 친다. 동천(東川)에는 신천소단(神泉小團), 창명수목(昌明獸目)이 있고, 섬주(陝州)에는 벽윤명월(碧潤明月), 방예(芳蕊), 수유료(茱萸簝)가 있으며, 복주(福州)에는 방산로아(方山露芽)가 있다. 기주(蘷州)에는 향산차(香山茶), 강릉(江陵)에는 남목차(楠木茶), 호남(湖南)에는 형산차(衡山茶), 악주(岳州)에는 옹호함고(㴩湖含膏)1), 상주(常州)에는 의흥(義興)의 자쟁(紫箏), 무주(婺州)에는 동백(東白), 목주(睦州)에는 구갱(鳩坑), 홍주(洪州)에는 서산(西山)의 백로(白露), 수주(壽州)에는 곽산(霍山)의 황아(黃芽), 기주(蘄州)에는 기문단황(蘄門團黃)이 있다.”고 전한다.

‘몽정석화’는 일명 ‘몽정차(蒙頂茶)’라고 한다. 검남 아주(雅州) 명산(名山)에서 생산되었던 차이다. 현재의 사천성(四川省) 아안시(雅安市) 명산현(名山縣) 소재의 몽정산(蒙頂山)2)이다. 당나라 때의 유명한 시인 백거이(白居易:백락천)는《금다(琴茶)》라는 시에서 “거문고 곡(曲)에는 오직《녹수(淥水)》만이 들을만하고, 차 중의 오랜 벗은 몽정산 차일세.”3)라고 몽정차를 극찬하였다.

‘신천소단’은 동천에서 생산되었던 차이며, 동천은 현재 운남성(雲南省) 동천현(東川縣)이다.

‘창명수목’은 금주 검각(劍閣)4) 이남, 서창(西昌) 창명(昌明) 신천현(神泉縣) 서산에서 생산되었다. 현재 사천성 면양시(綿陽市)의 안현(安縣)과 강유현(江油縣)이다.

‘벽윤명월’, ‘방예’, ‘수유료’ 등은 섬주에서 생산되었으며, 섬주는 현재의 호북성 의창(宜昌)이다.

‘방산로아’는 일명 ‘방산생아(方山生芽)’라고도 하며, 현재의 복건성(福建省) 복주시(福州市)에서 생산되는 차이다.

‘향산차(香山茶)’는 ‘향우(香雨)’, ‘진향(眞香)’이 대표적인 차이며, 기주에서 생산되었다. 현재의 중경시(重慶市) 봉절현(奉節縣)과 만주구(萬州區)에 속한다.

‘남목차’는 형주(荊州)에서 생산되며, 현재의 호북성(湖北省) 강릉현이다.

‘형산차’는 호남성 형산(衡山)에서 생산되었고, 그 중에서도 ‘석름차(石廩茶)’가 가장 유명하다.

‘옹호함고’는 일명 ‘옹호차(㴩湖茶)’라고도 하며, 그 지역사람들은 ‘백학차(白鶴茶)’라고 부르기도 한다. 악주에서 생산되었으며, 악주는 현재 호남성 악양시(岳陽市)이다.

‘의흥자쟁(義興紫箏)’은 ‘양선차(陽羨茶)’ 또는 ‘자쟁차(紫箏茶)’라고도 하며, 상주에서 생산된다. 그 지역은 현재 자사호로 유명한 강소성(江蘇省) 의흥시(宜興市)이다.5)

‘동백’은 무주에서 생산되었고, 그 지역은 현재 절강성(浙江省) 동양현(東陽縣) 동백산(東白山)이다.

‘구갱차(鳩坑茶)’는 목주 동려현(桐廬縣) 산곡(山谷)에서 생산되었으며, 지역은 현재 절강성 순안현(淳案縣) 구갱이다.

‘서산백로(西山白露)’는 홍주에서 생산되었으며, 그 지역은 현재 강서성(江西省) 남창시(南昌市) 서산이다.

‘곽산황아(霍山黃芽)’는 ‘수주황아(壽州黃芽)’라고도 한다. 수주에서 생산되었으며, 그 지역은 현재 안휘성(安徽省) 곽산현(霍山縣)이다.

‘기문단황’는 기주에서 생산되었으며, 지역은 현재 호북성 동부에 위치한 기춘현(蘄春縣)이다.

위에서 근거한《국사보》의 기록에는 당대 지방에서 중앙정부에 조공으로 바쳤던 명차가 모두 15품목으로 집계돼 있다. 그러나 공차와 관련된 또 다른 문헌 기록에 의하면, 이상에서 집계된 15품목 외에도 당나라 때의 명차는 35품목이나 더 있었다고 전한다.

‘고저(顧渚) 자쟁’은 일명 ‘고저차(顧渚茶)’, ‘자쟁차’, ‘호주자쟁(湖州紫箏)’이라고도 하며, 호주(湖州)에서 생산되었다. 호주는 현재 절강성의 장흥(長興)이다.

‘선인장차(仙人掌茶)’는 증청(蒸靑) 산차(散茶)에 속하며, 그 형태가 선인장과 같다. 형주에서 생산되었으며, 현재의 호북성 당양(當陽)시 옥천산(玉泉山)이다. 산 위에는 옥천사가 있으며, 당양옥천사경구(當陽玉泉寺景區)는 현재 중국의 국가공인 AAAA 등급의 관광지로 유명하다. 당대 최고의 시인 이백이 문중의 조카 벌 되는 선승 중휴에게 선인장차를 선물 받고 화답한 시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답족질승중부증옥천선인장차(答族侄僧中孚贈玉泉仙人掌茶)>라는 시이다. 이 시는 중국의 명차가 정식 시(詩)에서 묘사된 것 중에서는 최초의 기록이라고 한다. 이백이 쓴 이 시에는 호방한 시구를 이용하여 ‘선인장차’의 출처와 품질, 효능 등에 이르기까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차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차를 노래한 영다시(詠茶詩)의 대표적 걸작이 되었다.

‘구화영(九華英)’은 검각 이남의 촉중(蜀中) 지구에서 생산되었다. 소강원(小江園)은 섬주에서 생산되었으며, 지역은 현재 호북성 의창시이다. 《광군방보(廣群芳譜)․다보(茶譜)》에는 “섬주 소강원 ……… 차의 으뜸〔極品〕이다.”라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이릉차(夷陵茶)’는 섬주에서 생산되었다. ‘차아(茶芽)’는 금주(金州) 한음군(漢陰郡)에서 생산되었고, 지역은 현재의 섬서성 안강(安康)과 한음현(漢陰縣) 등에 해당한다. ‘자양차(紫陽茶)’는 지금의 섬서성 자양현(紫陽縣)에서 생산되었다. ‘아산차(鴉山茶)’는 일명 ‘서초괴(瑞草魁)’라고도 하며, 선주(宣州) 아산(丫山)에서 생산되었고, 현재 안휘성 낭계현(郎溪縣)이다. ‘아산차’는 당․송․원 세 왕조를 거쳐 내려오면서 그 생산이 한 번도 쇠퇴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천주차(天柱茶)’는 서주(舒州) 천주산에서 생산되었으며, 지역은 현재의 안휘성 잠산현(潛山縣)이다.

‘선애석화(仙崖石花)’는 팽주(彭州)에서 생산되었고, 현재의 산천성 팽현(彭縣)이다. ‘면양송령(綿陽松岭)’은 면주(綿州)에서 생산되었고, 현재의 사천성 면양시에 해당된다.

‘천목산차(天目山茶)’는 항주 천목산 일대에서 생산되었고, ‘경산차(徑山茶)’는 항주 일대에서 생산되었는데, 현재의 절강성 여항시(餘杭市)이다. 이곳은 그 유명한 원오 극근(圓悟 克勤) 스님의 친필 휘호인 ‘다선일미(茶禪一味)’가 일본에 직접 전파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이하는 간단히 도표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상 여러 문헌기록에 나타난 당대의 명차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대부분의 명차 생산지가 사천성과 복건성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일부 기타 지역도 보이긴 하지만 그리 많지는 않다. 즉, 사천성에서 기원한 차가 장강유역을 따라 복건성에서 꽃을 피웠다는 사실을 잘 입증해 주는 것이며, 또한 차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파되었다는 사실을 확연히 알 수가 있다.

주)-----
1) 옹(㴩): 물 이름 옹. 옹(灉)과 같은 글자이다.
2) 몽정산은 몽산(蒙山) 또는 몽산정(蒙山頂)이라고도 부른다.
3) “琴裏知闻唯渌水,茶中故舊是蒙山。” 여기서 ‘녹수(淥水)’는 유명한 거문고 연주의 곡명(曲名)이다. 몽정산은 몽산, 몽정산 또는 몽산정이라고도 하며, 현지의 일설에 의하면, 몽정산은 몽산의 일부 지산이라고도 한다.
4) 검각: 중국의 고지명이다. 현재 중국의 사천성 광원시(廣元市) 검각현이다. 이곳은 감숙성과 사천성 지역을 통과하는 교통요지이다. 고대에는 중요한 군사요충이기도 하다.
5) 의흥(宜興)의 지명은 송대 이전엔 ‘의흥(義興)’이었으나, 송나라 태종 조광의(趙匡義)의 휘(諱:황제 이름을 일컫는 말)를 피해서 지금의 ‘의흥(宜興)’으로 개칭되었다.

박영환 |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p-chonan@hanmail.net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