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4시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청정승가공동체 구현과 종단개혁을 위한 연석회의가 출범식을 갖고 있다.

각종 범계 행위와 종권 사유화, 비판 인사와 언론 탄압 등 조계종의 적폐를 청산하고 청정승가를 구현하기 위해 출·재가가 힘을 모았다.

‘청정승가공동체 구현과 종단 개혁 연석회의’(이하 연석회의)는 6월 7일 오후 4시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출범식을 갖고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연석회의는 “지금은 한국불교를 살릴, 우리 앞에 놓인 마지막 기회”라며, “봉암사 결사 정신과 1994년 종단 개혁 정신을 되새기고 지금 여기 우리가 서 있는 이 자리에서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으로’ 다시 한 번 개혁의 발걸음을 내딛는다.”고 출범을 선언했다.

연석회의는 ‘출범 선언문’에서 “출가자 급감, 각자도생, 300만 불자의 이탈이 한국불교의 현실”이라며 종단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무소유와 공유, 평등을 지고의 가치로 추구해야 할 승가공동체는 탐욕과 불평등, 차별이 난무하고 있고, 명리에 물든 권승들은 종단 권력을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보 정재 사유화로 승가는 각자도생의 길로 내몰리고 있고, 총무원이나 종회는 계파 정치를 통해 공적 권한을 사유화하고 각종 이권을 서로 나누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수행과 교화의 수장이 되어야 할 주지 소임은 세속적 출세의 도구로 전락했다”고도 지적했다.

연석회의는 “자신의 허물에 눈 감고 대응하지 않은 결과가 종도들이 각자도생하고, 출가자가 급감하고, 300만 불자가 절을 떠난 것으로 이어졌다.”며, “지금 이 자리에서 한 줌이라도 남은 희망의 불씨를 살려 한국 불교를 소생하는 일에 진력하고자 한다.”고 다짐했다.

연석회의는 이어 “대중공의와 종도 주권의 실현은 붕괴된 승가공동체 복원을 위한 전제”라며, “종도들이 종단 운영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종단 대표자를 종도들이 직접 선출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총무원장 직선제를 수용하라는 요구다.

연석회의는 “도덕이나 수행력에서 종도와 국민의 존경을 받는 총무원장을 종도 전체가 합의하고 직접 선출하는 것은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전제”라고 지적하고, “총무원장 선거는 종도들의 다양한 의견을 하나로 모으고 갈등을 치유하며 모든 종도들이 화합하고 종단의 맑고 밝은 미래를 펼치는 소통과 화합과 비전 구현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종권 사유화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연석회의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에서 보았듯 권력이 사유화되면 신뢰와 지지를 잃어 결국 무너지게 된다.”며, “종단 권력 사유화는 이미 임계점을 넘었다”고 강조했다.

연석회의는 “종단에 비판적인 스님을 징계하고, 범계 행위와 부패를 비판한 언론과 일부 인사, 시민사회단체를 해종으로 낙인찍어 재갈을 물리고 있다”며, “언론 탄압 및 종단에 대한 비판적 승려에 대한 징계도 금년 상반기까지 철회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또 “부정 금권선거와 은처자 문제 또한 적극 회피하고, 당사자를 보호함으로서 승가와 불교를 세속의 웃음거리로 전락시켰다.”며, “용주사 주지 은처 및 마곡사 주지 금권선거 등 당면한 범계 행위에 대해 금년 상반기까지 즉각적인 처리와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연석회의는 끝으로 “현 총무원과 중앙종회가 진일보한 태도를 보이지 않고 기득권 유지와 범계 행위 비호를 계속할 경우 범불교도대회 개최 등 관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지금이 한국불교를 살릴, 우리 앞에 놓인 마지막 기회”라며 역설했다.

출범 선언문 발표에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법안 스님(실천불교전국승가회 명예대표)은 인사말에서 “승가공동체는 부처님의 집이고, 승가는 부처님 제자 가문의 일원이다. 부처님의 집이 집다우려면 구성원의 수행가풍이 청정하고 승가공동체가 정상적으로 작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종단이 율장과 종헌·종법에 근거해 운영될 수 있도록 적폐의 구조적 모순을 정직하게 드러내 승가공동체를 부처님의 집답게 복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병기 한국교원대 교수는 “일주문 앞이 조계사 사유지라고 기자회견을 막는 것이 종단 지도부의 인식”이라며, “이런 시스템이 바뀌지 않는다면 불교 전체의 미래는 없다”고 주장했다. “상식적 수준에서 부끄럽지 않게 수행정신과 계율이 존중되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지적한 박 교수는 “연석회의 출범이 그 디딤돌,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석회의는 언론 탄압, 비판적 승러에 대한 징계, 용주사 주지 은처 의혹과 마곡사 주지 금권선거 등 범계 행위에 대한 처벌, 총무원장 직선제 등 요구에 대한 총무원의 반응을 본 뒤 7월 중 실시할 수좌회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해 활동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

연석회의는 출범식 직후 ‘마곡사 금품선거와 요주사 범계행위 의혹에 대한 호법부의 신속한 조사를 촉구하는 고발장’과 ‘총무원장 면담 요청서’를 총무원에 전달했다.

면담 요청서와 고발장은 일문 스님(실천불교전국승가회 대표)와 허정 스님, 박병기 교수, 허태곤 참여불교재가연대 상임대표가 전달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