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로이 지내시는 근황이 좋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소승은 줄곧 병으로 신음하는 두타로 지낼 뿐입니다. 어찌하겠습니까! 지난 달 모일에 실상사(實相寺) 약수암(藥水庵)의 승려 편에 서찰 한 통을 부쳤는데, 받아 보셨는지요? 지금 용문(龍門)으로 가는 인편이 있기에 몇 자 적어서 부칩니다.

유가(儒家)에서는 “군자는 자기를 미루어 갈 뿐이니, 자기에 만족하여 밖에서 바라고 기다림이 없는 것을 덕(德)이라 한다.” 하였으니, 이것은 선비들이 늘 하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이 말을 불교 공부에 적용해 보면 그 이치가 매우 많고 큽니다. 대개 생사(生死)와 열반, 범성(凡聖)과 선악(善惡)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참선, 송경(誦經), 기도, 염불 등 수행까지도 모두 밖의 것이 아님이 없으니, 자기 밖의 것이라면 이미 옳지 않습니다. 동정운위(動靜云爲)의 모든 행위에 자기도 모르게 외물(外物)에 얽매이고 이끌리는 것이 마치 교외의 우산(牛山)과 같습니다. 하물며 생사와 화복(禍福)이 갈리는 즈음에야 말할 나위 있겠습니까. 틀림없이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조공(肇公)이 이르기를 “지인(至人)은 자기가 없다.” 하였는데, 이는 교가(敎家)에서 너무나 많이 써서 싫증이 나는 말이지만 도리어 맛이 있습니다. 그래서 옛 스님이 이르기를 “지극히 반조(返照)하여 자신이 의지할 데가 없으면 온 몸이 그대로 대도(大道)에 합한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거울을 깨고 오면 그대와 서로 대면해 보리라.” 하였던 것입니다.

대저 일점 신령한 마음은 그 자체가 걸림 없이 툭 트이고 아주 말쑥하여 본래 갖추어진 바탕에 터럭만한 것도 아무 흔적도 없습니다. 따라서 도달할 본래 자리에 도달하면 자기의 밖이니 자기니 하며 지리(支離)하고 모호하게 구별할 필요가 없으니, 이 경지에 이르면 자유롭다는 것조차도 쓸데없는 말일 뿐입니다.

연년에 남쪽으로 오셨을 때 공께서 불법을 힘써 공부하는 것을 보았기에 안부 편지를 보내는 차제에 붓 가는대로 쓰다 보니, 나도 모르게 말이 너무 길어졌습니다. 정으로 받아주고 허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사는 곳이 서로 아득히 멀어 만날 수 없는 터라 편지를 앞에 놓고 마음 서글픕니다.

[靜居道候, 伏想玄裕. 鯫禿一味作吟病頭陀而已, 奈何! 前月日附呈一札於實相藥水庵僧, 未知抵覽? 今有去龍門信便, 附以數字. 儒云: “君子推己, 足乎己不待於外之謂德.” 此是斯文常談. 然而參證於學佛者, 其理甚繁浩. 蓋生死涅槃凡聖善惡等事, 以至禪誦祈念等行, 無非是外, 外己早不是. 動靜云爲, 自不覺籃沮牽惹於物, 如四郊之牛羊. 況生死禍福之際乎? 其不自由者必矣. 肇公云: “至人無己.” 此亦敎場篘狗, 却有味旨. 古古德云: “照盡體無倚, 通身合大道.” 又云: “打破鏡來, 與爾相見.” 夫一點靈臺, 廓然淨盡, 絶廉纖, 勿痕縫於本有田地. 到其所到, 不用支離塗糊於己之外與己矣. 其自由二字, 亦閒言語. 年前南來之日, 見公學佛精苦, 因寒喧信筆及此, 不覺打煩蔓. 領情勿咎申企耳. 相去杳隔, 臨紙惘然.]

해설

실상사 약수암(藥水庵)의 승려 편에 편지를 부쳤다고 한 것을 보면, 경허가 1900년경 남원 실상사에 있을 때 부친 편지임을 알 수 있다. 용문(龍門)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이다. 이 편지에는 제목 아래 “장 상사(張上舍)는 이름이 효영(孝永)이고 호는 정련거사(淨蓮居士)이며, 김석두(金石頭)는 이름은 병선(炳先)이고 석두거사(石頭居士)는 그의 호이다. 모두 예천군 생천동(生川洞)에 산다.”라는 주(注)가 달려 있다. 생천동은 용문면에 있는 마을이다.

상사(上舍)는 진사(進士)나 생원(生員)의 이칭이다. 그래서 《사마방목(司馬榜目)》을 살펴보아 예천 사람 장효영(張孝永)이란 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 그는 고종(高宗) 22년(188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에 진사 3등(三等) 107위로 합격한 사람으로 자는 원선(源善)이고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생년은 1864년이다. 경허보다 나이가 18세 적다.

상대방이 선비들이기 때문에 경허는 유가(儒家)의 말을 빌어서 불교의 이치를 설명하였다. 군자는 자기에게 만족하고 밖으로 바라는 것이 없다고 했는데, 불법(佛法)에서는 자기마저 없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래 불성(佛性)의 자리에서는 생사(生死)와 열반, 범성(凡聖)과 선악(善惡) 등 상대적인 개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참선, 송경(誦經), 기도, 염불 등 모든 수행조차도 모두 밖의 것이 아님이 없으니, 자기 밖의 것은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자기 불성을 찾는 데는 누가 된다는 것이다.

우산(牛山)은 전국시대 제(齊)나라 도성 교외의 산으로 사람의 본성에 비유된다. 즉 우산은 원래 아름다운 숲이 우거졌었는데, 나무꾼들이 베어가고 소와 양들이 싹을 뜯어먹다 보니 민둥산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사람의 본성이 사물에 이끌려 손상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맹자》에 나오는 얘기이다.

조공(肇公)은 동진(東晋) 때의 승려 승조(僧肇 384~413)를 가리킨다. 불교의 깨달음은 무아(無我)를 깨닫는 것이다. 즉 본래 나라고 할 나가 없음을 깨달으면 사물과 나의 구별이 없어져 마음이 까닭 없이 괴로워하고 허덕일 일이 아주 없어진다는 것이다. ‘나’가 없다면 자유롭다고 하는 말도 아무런 의미를 가질 수 없다. 자유롭다, 자유롭지 않다고 판단할 주체가 없기 때문이다. 거울을 깨고 오라는 말은 거울이 아무리 맑아 모든 사물을 걸림 없이 비춘다 할지라도 비추는 주체는 남아 있으니, 거울이 깨지고 없는 경지라야 철저한 무아의 경지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허와 이 영남 선비들과의 교유는 길지 못했다. 경허는 1904년 해인사에서 인경불사(印經佛事)를 마치고 경상도를 떠나 그 이듬해에는 유생의 모습을 하고 북방으로 종적을 감추었다. 삼수, 갑산, 강계(江界) 일대를 떠돌던 경허는 갑산군 웅이방(熊耳坊) 도하동(道夏洞)에서 학동을 가르치는 훈장 노릇을 하다가 1912년 입적하였다. 경허와 영남 선비들의 교유 이후에도 유생과 승려의 진솔한 만남이 많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불교를 이단으로 강하게 배척하였기 때문에,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와 같은 예외가 아주 없진 않지만 불교에 조예가 있는 학자를 찾아보기 어렵다. 《주자대전(朱子大全)》 연구의 금자탑이라 할 저 《주차집보(朱箚輯補)》의 방대한 주석에서도 불교의 학설이나 용어에 대한 것은 매우 초라하고 엉성하다.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읽는 사람은 불서(佛書)를 애써 기피하고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은 유가의 사상을 경시하는 공부의 편향성이 강하게 남아 있다. 웬만한 학자라면 유불(儒佛)을 대강은 섭렵하는 이웃 나라 일본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주자학이 사회를 지배하는 이념으로 일정 부분 남아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상하 |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수, ksce21@hanmail.net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