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구화산(九華山) 천태사(天台寺)

3) 당대(唐代) 차업(茶業)1) 발전의 주요 원인

첫째, 성당(盛唐) 경제·문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육조(六朝) 이전에 중국의 음차풍속은 여전히 보편적이지 못했다. 《선부경수록(膳夫經手錄)》에 “개원(開元)·천보(天寶)2) 사이에, 점차적으로 차가 있더니, 지덕(至德)·대력(大歷)3) 연간에 이르러 곧 많아졌다〔至開元·天寶之間, 稍稍有茶, 至德·大歷遂多〕.”고 한 것이 그 사실을 보여준다.

당의 부국(富國)·강성(强盛)의 기초는 이미 당 태종의 ‘정관의 치〔貞觀之治〕’에서 이미 완성되었다. 당 초의 ‘정관지치’는 부국강병은 물론 영토의 확대와 정치·경제·문화·통치 등 여러 분야를 공고히 하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으며, 대당제국의 기초를 확고히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원·천보 연간에는 당나라의 번영과 부국강병의 위세가 절정에 이르렀다.

특히 당 현종은 거대한 포부와 창업정신을 가진 군주로서 집권 초기에 요숭, 송경, 장구령 등과 같은 능력 있고 덕망 있는 현인(賢人)들을 대거 등용하여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불합리한 서민(庶民)정치를 많이 개선하였다. 이로 인해 개원·천보 연간의 경제는 당대의 어느 황제 때보다 매우 견실하게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국가와 사회가 번영함에 따라 일상적인 사회소비품은 날로 증가하였고, 그중에도 차(茶)는 당시 사회경제를 결정짓는 중요한 품목이 되었다.

둘째, 교통의 발달이 차문화 전파와 보급의 원동력이 되었다.

혼란했던 국가가 통일을 이루고 사회와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또 하나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은 바로 교통의 발달이다. 교통의 발달은 오랫동안 단절되었던 중국의 남북경제와 문화를 연결하고 빈번한 교류를 촉발시켰다. 이에 남방의 차와 차문화가 북방으로 전파·보급되었다. 또한 수대(隋代)에 이루어진 대규모 수로(水路)인 ‘대운하’로 인해 남북 간의 교통이 원활해짐으로 인해 황하와 장강의 양대 유역의 문화가 하나로 연결되어 하나의 경제국면을 출현시켰고, 아울러 물건의 대량 운반이 용이하게 되었다.

셋째, 육우의《다경》 저술이 차산업(茶産業)과 음차문화를 창도(唱導)하였다.

북송(北宋)의 대시인 매요신(梅堯臣)은 <차운화영숙상신차잡언(次韻和永叔嘗新茶雜言)>이란 시에서 “육우로부터 사람들 사이에 차가 있게 되었고, 사람들이 서로 배우며 봄차 따는 일에 종사하네.”라고 하였다. 이는 육우가 당대 차산업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신당서(新唐書)》 <육우전(陸羽傳)>에는 “육우가 차를 좋아하여 경 3편을 저술하였다. 차의 기원과 차의 제조법, 차의 도구에 대해 모두 갖추어 말하였는데, 이로써 천하가 더욱 차 마실 줄을 알게 되었다.”라고 기록돼 있다. 이는 육우가 차 생산과 제조 등 차산업(茶産業)은 물론 일반 백성들이 차를 마시는 음차풍속(飮茶風俗)까지도 창도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넷째, 승려(僧侶)와 도사(道士)의 수도(修道) 생활 중 차 재배와 음차생활

당대(唐代)의 차문화와 차산업의 발달은 당대의 불교와 도교의 흥성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경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국의 도교와 불교는 일찍이 한나라에서부터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를 거쳐 당대에 이르기까지, 특히 당대에는 황제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후원에 힘입어 그야말로 극성기(極盛期)를 맞이하였다. 이로 인해 사원경제도 덩달아 발전·번영하게 되었으며, 당조(唐朝)의 경제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은 물론 이후 역대 왕조에까지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승도(僧·道) 양교의 주된 수련법은 모두 참선(參禪)과 좌망(坐忘)인데, 주로 밤에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련에 있어 가장 큰 장애는 잠〔睡眠〕의 유혹이다. 그래서 이들은 수련 중에 쏟아지는 잠을 쫓는 수단으로는 차를 마시게 되었다. 원래 수련 중에는 어떠한 간식도 허락되지 않았으나, 오직 차만큼은 수행 중일지라도 마시도록 허락하였다. 이들의 차 소비량은 그야말로 폭발적이며, 이는 당대 차 생산 확대와 소비를 부추기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자급자족을 원칙으로 하는 사원(寺院)이나 도관(道觀)에서는 그 사묘(寺廟) 주변에 직접 차 씨를 심고 차나무를 재배하며, 차를 직접 제다하여 마시기도 하였다. 이렇게 만든 차의 최상급은 부처님께 공양하고, 중등급은 향객(香客 : 신도)들에게 대접하며, 하등급은 남겨두었다가 자신들이 밤에 수행할 때 잠을 쫓기 위한 방편으로 마시곤 하였다.

불교와 도교의 음차문화는 점차 확대되어 ‘사원다도(寺院茶道)’라는 참신하고 특이한 차문화를 탄생시킴은 물론 민간 다도를 창도해 나갔다. 더 나아가 ‘일본다도’의 전형적 모태를 형성하게 되는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사상을 창출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까지 맥이 끊어지지 않고 전승되어 온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차문화의 흔적은 역시 사원(寺院)이나 도관(道觀)을 중심으로 발달해 온 차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넷째, 당대(唐代) 기후가 차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 제1 온난기(溫暖期 : BC 3000~BC1000년)
이 시기는 대략 앙소문화(仰韶文化)와 하남(河南) 은허(殷墟)시대로 황하유역에서 산동반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죽류(竹類)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안양(安陽) 은허 일대에는 노루(麞 : 장)와 대나무 쥐(竹鼠), 개, 물소 등의 열대·아열대 동·식물들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 제1 한냉기(寒冷期 : BC 1000~BC 850년)
이 시기는 대략 서주(西周)시기로 《죽서기년(竹書紀年)》에 의하면 한수(漢水)가 2차례나 얼어붙었다고 한다.

㉢ 제2 온난기(溫暖期 : BC 770~AD 초)
대략 춘추시대에서부터 서한(西漢)에 이르는 시기로서 《시경(詩經)》·《사기(史記)》등의 기록에 의하면, 매, 죽, 귤, 옻 등 아열대 식물이 분포되었으며, 한기(寒期)때 보다 북쪽으로 많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 제2 한냉기(寒冷期 : AD초~600년)
대략 동한(東漢)에서 남북조에 이르는 시기로서 이 기간 중에는 3세기 후반쯤에 기온이 갑자기 저하되어 매년 음력 4월에도 서리가 내렸다고 한다.

㉤ 제3 온난기(溫暖期 : AD600~1000년)
대략 수당오대(隋唐五代)시기로서 “8세기 초에 매화나무를 장안(長安)에 심었고, 751년에는 장안에 심었던 감귤나무에 열매가 열렸다”고 전한다.

㉥ 제3 한냉기(寒冷期 : 1000~1200년)
대략 양송(兩宋)시기로서 이 시기엔 “태호(太湖)의 물이 언 적이 있는데, 마차가 지나가도 될 정도로 두꺼웠으며, 그리고 동정산(洞庭山)의 동·서 산의 감귤들이 모두 얼어 죽었고, 항주에서는 매년 종일 눈이 내려 통상 늦봄까지 제설작업을 했다.”고 전한다.

이상은 중국의 원시말기(原始末期)에서부터 송대(宋代)까지의 기후변화의 주기(週期)를 알려주고 있는 기록들이다.

이상의 기후 변화 주기를 살펴보면, 당대 이전의 중국 차업(茶業)이 비록 빨리 시작됐지만, 왜 그렇게 더디게 발전하였는지를 알 수가 있다. 또한 당대(唐代)의 기후가 가장 따뜻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차나무 발견과 차 식용이 이미 오래 전에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도 느린 속도로 발전이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왜 당대에 이르러 갑자기 흥성하게 일어나게 되었는지를 극명하게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주) ----------
1) ‘초당(初唐)’은 고조 무덕 원년(高祖 武德 元年, 618년)에서 예종 태극 원년(睿宗 太極 元年, 712년)까지의 94년간, ‘성당(盛唐)’은 헌종 개원 원년(憲宗 開元 元年, 713년)에서 대종 영태 원년(代宗 永泰 元年, 765년)까지의 52년간, ‘중당(中唐)’은 대종 대력 원년(代宗 大曆 元年, 766년)에서 문종 태화 9년(文宗 太和 9年, 835년)까지의 69년간, ‘만당(晩唐)’은 문종 개성 원년(文宗 開成 元年, 835년)에서 애제 천우 4년(哀帝 天佑 4年, 907년)까지의 71년간을 일컫는다.
2) 개원(開元:712~741년)·천보(天寶:742~756년)는 모두 당 현종이 사용하던 연호이다.
33 지덕(至德:756~758년)은 당 숙종(肅宗)의 연호, 대력(大歷:766~799년)은 당 대종(代宗)의 연호이다.

박영환 |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