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세상이다.

깊고 넓게 생각하는 이들은 하나같이 ‘끝’을 말하고 있는 오늘이다. 꿈과 희망이 넘치는 아름다운 새 천년이 올 것이라고 그렇게들 떠들어 쌓더니, 온 것은 전쟁밖에 없다. 온갖 그럴듯한, 입에 발린 강자의 논리로 사회적 약자와 민족적 약자를 마구 죽여 버리는 것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이른바 세상을 다스리는 자리에 있다는 물건들은 입만 열면 사랑과 평화와 자유와 평등을 말한다.

엉망진창이 되어버린 세상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무서운 것은 자연생태계의 고리가 끊어져 버렸다는 점이다. 이것은 자연생태계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마음 생태계의 고리가 끊어져 버렸다는 것을 말한다. 보다 손쉽고 즐겁게 살고자 하는 끝 모를 탐욕 때문이다.

어떻게 할 것인가?

선가(禪家)에서 말하는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의 근본이치를 깨우쳐 부질없는 탐욕의 고리를 끊어내지 않고서는 더불어 함께 지옥에 떨어질 수밖에 없으니, 문제는 ‘가치관’이다. 어떻게 사는 삶을 가장 아름다워서 훌륭한 삶으로 볼 것이냐 하는.

중도(中道)를 말하는 것이 부처님이다. 거칠게 말하면 중도라는 것은 괴로움이나 즐거움에 집착하거나 도망가려 하지 말고 조화를 찾으라는 것이다. 이 말은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애매모호한 중간 길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이기심을 버리고 모든 문제를 핵심에서부터 파고들어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극단에 치우치지 말고 올바른 가운데에 굳게 서서 사물과 현상을 올바르게 바라보라는 것이다.

불교는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참사람에 이르는 길을 낱낱이 가르쳐 주고 있으므로 인간적이며 아울러 과학적인 가르침이 된다. 더구나 한 개인의 구원만을 목적으로 하는 소승종교가 아니라 더불어 함께 살면서 더불어 함께 깨달음의 저 언덕에 이르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를 부처의 나라로 만들자는 적극적 실천의 대승종교라는 점에 위대성이 있는 것이다.

나 혼자서만 깨달아 나 혼자서만 열반의 저 언덕에 이르기는 차라리 쉬운 일일지도 모른다. 참으로 어렵고 힘든 것은 내 깨달음을 널리 펴서 우리 모두의 깨달음으로 만듦으로써 우리가 이제 살고 있는 이 세계를 부처의 나라로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닐는지. 깨달음을 얻어서 저 하늘 어느 공간에 있는 극락세계로 가자는 것이 아니다. 이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가 자유롭지 못하고 평등하지 못해서 평화롭지 못한 억압과 불평등과 전쟁의 지옥세계인 것이라면, 깨달음의 세계로 가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나날의 삶의 현장에서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기울여 모든 부자유와 불평등과 전쟁의 근원을 물리쳐 이 세계를 그대로 극락세계로 만들자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이 더러운 땅, 곧 예토(穢土)인 것이라면 예토를 그대로 뒤집어 깨끗한 땅, 곧 정토(淨土)로 만들자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현실을 완성된 것으로 보지 않고 끊임없이 부딪쳐 바로잡아 나가야 할 미완성의 것으로 보는 현실부정의 정신이 필요하다. 이것은 무조건 현실을 부정하자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나은 내일을 위하여 끊임없이 현실안주와 현실고착의 유혹을 뿌리쳐 떨쳐버리자는 진보와 혁명의 정신을 말한다.

편안하게 머무는 곳에 진보는 없으며, 괴어 있어 움직이지 않는 곳에 혁명은 있을 수 없다. 진정한 진보와 진정한 혁명을 위하여는 이제 나는 어느 곳에 살고 있으며 내가 이제 살고 있는 곳의 조건은 어떤 것인가를 분명하게 알아야 하는 투철한 현실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부정을 통해서 긍정에 이르고 그것을 다시 부정함으로써 더 큰 긍정에 이르는 길을 마련하자는 불교변증법이야 말로 예토를 정토로 뒤바꿔 놓을 수 있는 열쇠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우리 모두의 세계관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김성동 | 소설가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