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란분절(盂蘭分節)은 불교 5대 명절 가운데 하나로, 부처님오신날을 빼고 가장 분주한 날이다. 매년 음력 7월 15일에는 거꾸로 매달려 고통을 받고 있는 악도의 중생을 위해 재를 베풀어 구한다고 한다. 더불어 중생의 전도(顚倒)된 가치관 즉, 어리석어 세상을 잘못보고 거꾸로 착각하는 중생심을 버리고, 지혜의 자성광명으로 나아가기 위한 참회일이기도 하다.

거꾸로 살아 온 자신의 모습들, 즉 세속의 가치를 쫓아 참된 가치를 버리고 있었던 일이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의 행복을 짓밟았던 일, 부모님에게 불효한 일이나, 부처님 말씀을 믿지 아니하고 어리석게 행동했던 일 등 자신의 거꾸로 된 잘못된 모습을 바로 세우는 데 참뜻이 있는 날이 우란분절이다.

우란분재의 기원은 부처님 재세 시에 목련존자와 관련된 것으로 전해진다. ‘목련존자의 구모생천(求母生天)’이라 하여 널리 회자되어 왔으며, 《목련경》과 《우란분경》에 자세히 설해져 있고, 우란분재(盂蘭盆齋) 또는 우란분회(盂蘭盆會 : 우란분법회), 우란분절(盂蘭分節)은 이들 경전을 근간으로 유래된 재(齋) 또는 법회를 뜻한다.

음력 7월 15일, 백중날에 우란분재를 행하면 현재의 부모는 수명이 백 년이고 병이 없으며, 모든 고뇌와 근심이 없게 하고, 과거 7대의 부모는 아귀의 고통을 떠나서 천상이나, 인간 세상에 태어나서 복과 낙이 다함이 없게 된다고 한다.

음력 7월 15일은 백중날이기도 하다. 우란분재와 백중은 같은 날이지만, 같지 않다. 종묘에 이른 벼를 베어 천신에게 드렸던 날에서 유래한 백중은 집에서는 익은 과일과 채소로 조상의 사당에 차례를 드렸고 절에서는 부처님께 공양하고 스님들을 공양하고 조상에게 천도재를 드렸다. 더불어 공덕을 짓기 위해 방생하거나 선행을 했다. 각 지방의 공동우물 청소나 마을청소, 부유한 집에서 술과 음식을 내어 동리사람에게 대접하는 민속 역시 방생과 공양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었다. 백중은 농경문화의 산물이기도 했다. 곡식이 영그는 풍요로운 때 농민들이 일손을 잠시 놓고 놀이와 휴식을 가졌던 민속노동절이다.

백중은 세시풍속과 불교의 우란분재가 만난 우리 민족의 가장 중요한 민속이었다. 산업화 도시화된 오늘날 백중의 의미와 전통은 새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우란분재》는 우란분절의 현대적 의미와 전통을 조명했다. 특히 우란분재와 효의 관계에 집중했고, 백중과 우란분재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다뤘다. 우란불재 때 사찰에서 법보시용으로 배포하기 좋은 크기와 쪽수로 구성했다.

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조계종 출판사/3,000원

서현욱 기자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